선시.한시.법어

먼 하늘 기러기 내리는 가을

제이제이 2015. 10. 30. 07:23

먼 하늘 기러기 내리는 가을

 

 

學道先須究聖經  (학도선수구성경)

聖經只在我心頭  (성경지재아심두)

驀然踏著家中路  (맥연답저가중로)

回首長空落上秋  (회수장공낙상추)

 

 

도를 배우려면 먼저 경전을 익혀야 하느니

경전은 바로 내 마음속에 있네

이제 고향집으로 돌아가고 있나니

먼 하늘에는 기러기 내리는 가을이네

 

 

-벽송 지엄(碧松 智嚴14641534)선사

 

호는 야노(野老), 당호는 벽송당(碧松堂), 법명은 지엄(智嚴)

전북 부안(扶安)출신이다.

어려서부터 기골이 장대하고 무예를 좋아하여 무과(武科)에 뽑혔으며,

1491년 여진족(女眞族)이 침입하자 도원수 허종(都元帥 許琮)의 휘하에서 장수로 출전(出戰)하여

()을 세웠으나, 28세 때 계룡산(鷄龍山)의 조계 대사(祖溪 大師)를 찾아가 출가(出家)하였다.

 

황악산 직지사(直指寺)의 벽계 정심선사(碧溪 淨心禪師)에게서 활연대오(豁然大悟)하였다.

그 후 경남 화개(花開) 의신사(義神寺)에서 선()을 선양하거나

혹은 교()를 담론하면서 제자(弟子)를 가르쳤는데 배우고자 하는 이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어 꺼져가던 법등(法燈)을 다시 밝혀 빛나게 하였다.

 

1534년 겨울 지리산 수국암(壽國庵)에서 제자들에게『법화경(法華經)』을 강설(講說)하던 중

“대개 모든 법의 적멸상(寂滅相)은 말로써 표현할 수 없는 것이니

이제 너희들도 만일 부처님의 무언(無言)을 믿으면 곧 자가심지(自家心地)를 깨칠 것이다.

오늘은 노승도 또한 너희들을 위해 적멸상(寂滅相)을 보이고 가리니

너희들은 밖을 향하여 구하려 말고 마음 깨치기를 힘써라.”는 말을 마친 후,

시자를 시켜 차()를 따르게 하여 한 잔을 마시고는 결가부좌 한 채 열반에 들었다.

이후 대사의 다비(茶毘)를 모실 때 상광(祥光)이 하늘에 뻗치고 사리(舍利)가 무수히 나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