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몸이 입이 되어 허공에 걸려~
온 몸이 입이 되어 허공에 걸려~
通身是口掛虛空(통신시구괘허공) 온 몸이 입이 되어 허공에 걸려
不管東西南北風(불관동소남북풍) 동서남북 바람을 가리지 않고
一等與渠談般若(일등여거담반야) 언제나 바람 따라 반야를 노래하네
滴丁東了滴丁東(적정동료적정동) 뎅그렁 뗑 뗑그렁 뗑
절에 가면 처마 밑에 풍경이 달려 있는 것을 흔히 보게 된다.
작은 종 모양의 요령 안에 방울이 달렸고
그 밑에 보통 물고기 모양의 쇠붙이가 달려 있다.
이 풍경을 소재로 멋진 시를 지은 사람은
천동여정(天童如淨 1163~1228)선사이다.
그는 조동종에 속해 있던 승려로 남송(南宋) 때 사람이다.
바람에 울리는 풍경소리를 반야를 노래한다고 한 것은
깊은 직관력을 터득한 경지라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시를 반야송(般若頌)이라고 불러왔듯이
선시사(禪詩史)에서 반야의 세계를 노래한 백미(白眉)로 알려져 있다.
여정(如淨)의 문하에서 수학한 일본 조동종의 개조인 도원(道元)은
이 시가 단연 선시로서 최고의 격을 갖춘 시라 하였다.
예로부터 바람소리 물소리가 모두 반야를 노래하고 있다고 하였다.
사실 반야를 증득한 자의 입장에서 보면 이 세상 모든 것은
모두 반야의 화음으로 들릴 것이다.
때로는 사람이 사람의 말이 아닌 자연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어디서 저런 소리가 나오는가?
실상의 이치를 관조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보면 마음에 와 닿는 모든 것이
부처의 세계에서 들려 오는 반야의 소리가 아닌 것이 없을 것이다.
"두두(頭頭)가 비로(毘盧)요 물물(物物)이 화장(華藏)"이라고 한 말이 있듯이,
실상을 통달한 지혜의 눈으로 보면 삼라만상이 비로자나 부처님이고
온 세상이 비로자나의 법신 정토(淨土)인 것이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궁극적으로 긍정하고 살아야 할 아름다운 세상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욕구불만에 의하여 이 세상을 부정하고픈 때가 있기도 하나
대자연의 이치 속에는 아무런 결함과 하자가 없는 모든 것이 다 갖추어져 있는 원만 그 자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