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 제4칙) 호자무수(胡子無鬚)
(무문관 제4칙) 호자무수(胡子無鬚)
혹암선사가 대중에게 말했다.
"서천의 달마는 왜 수염이 없는고?
"或庵曰 西天胡子 因甚無鬚? ("혹암왈 서천호자 인심무수)"
★무문왈: 참선은 모름지기 참된 수행이어야 하고
깨달음은 참된 깨달음이어야 된다.
그대는 달마를 한 번은 직접 친견하여야 한다.
그러나, 친견이라고 하는 순간 이미 둘로 분리되어 버린다.
(오직 그대 자신이 달마임을 알아야…)
★바보 앞에서 꿈 이야기를 해서는 안 된다.
달마가 수염이 없다느니…
맑은 물에 술 잔을 기울이는 꼴이다.
*혹암사체[或庵師體:1108-1179]-송나라때 임제종 스님. 원오극근의 법손
○공안을 접하면 절로 웃음이 나온다.
왠 일일까? 달마에게 수염이 없다니…
각종 달마도에 나오는 대사의 모습은 그야말로 수염 투성이다.
그런데, 왜 수염이 없다 했을까?
그러나, 그대는 명심해야 한다.
모든 존재에 불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一切衆生 悉有佛性 (일체중생 실유불성)
조주는 개에게 불성이 없다고 하지 않았는가?
그렇다면, 당연히 달마에게도 수염이 있을 수 있겠는가?
달마의 수염이 보인다면 공연히 수염타령만 하지 말고
오직 그대 자신이 달마와 둘이 아님을 알 때까지
열심히 수행하시길 바랍니다.
○무문관 제1칙 '구자무불성'과 비교하여 참구하시기 바랍니다.
무문관 1.2.3.칙과 4.5.6.칙은 그 뜻과 배열이 비슷합니다.
1칙에서 6칙까지 서로 비교하며 깊이 성찰하셔서
무문선사의 깨달음의 노래를 같이 즐기시기 바랍니다.
○무수를 수염이 많다고 해석하여 설한 부분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명심해야 할 것은 수염이 많다고 해석하든
수염이 없다고 해석하든 모두가 부질없는 수염임을 알아야 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