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山月夜詠梅(도산월야영매)
獨倚山窓夜色寒(독의산창야색한) 홀로 산창에 기대니 밤 기운이 차갑다
梅梢月上正團團(매초월상정단단) 매화가지 끝에 달은 떠 둥글구나
不須更喚微風至(불수갱환미풍지) 봄바람 불러올 일 무어 있겠나?
自有淸香滿院間(자유청향만원간) 맑은 향기 저절로 집 안에 가득하네.
이 시는 퇴계 이황이 도산서원에서 달밤에 매화를 보고 읊은 시다.
차가운 산골의 밤, 달빛마저 차가운데 청빈하고 지조 있게 사는 도학자는
가슴에 천지의 기를 느끼며 달빛 젖은 사색에 몰두한다.
뜰에 심은 매화는 어쩌면 자신의 성품을 상징하는 꽃일 것이다.
그 매화가지 끝에 마침 보름달이 걸려 있다.
인동의 초목이 봄을 기다리며 산자락에 섰는데 매화 일지향이 뜰에 가득하다.
퇴계는 매화를 무척 좋아했다고 한다.
?매화시첩?이란 시집 안에 매화를 읊은 시가 무려 104수나 된다.
정한강(鄭寒岡)은 집 둘레에 백여 그루의 매화를 심어 놓고
자기 집을 백매원(百梅園)이라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옛날의 선비나 학자들이 매화를 특히 좋아했다는 사실은
매화의 기상이 청아한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군자에 비유한 것도 그렇고 아무튼 매향이야말로 최고의 향취를 사람에게 선사한다.
사람의 인격에서 풍기는 향기가 있다면 그 역시 매화 향기와 같을 것이다.
맑고 은은한 매화의 이미지가 사람의 마음속에서 기실은 살아나야 할 것이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이 다하도록 봄을 찾아도~ (0) | 2016.03.18 |
---|---|
마음이 온갖 경계를 따라 굽이치나니~ (0) | 2016.03.04 |
사흘은 강을 가고~ (0) | 2016.02.10 |
온 몸이 입이 되어 허공에 걸려~ (0) | 2016.02.05 |
사부시(四浮詩) (0) | 2016.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