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부 (115) 썸네일형 리스트형 불교 계율(戒律)-4 불교 계율(戒律)-4 수계(受戒) 계를 받아야 ‘진정한 불자’ “꼭 실천하겠다” 자세 중요 『화엄경』에 이르기를 “계는 무상보리의 근본이다”(대정9. 433중)고 하였다. 불교의 근본정신이 계율에 있음을 이르는 말이겠다. 따라서 불문에 들려는 사람은 출가자든 재가자든 수계 즉 계를 .. 불교 계율(戒律)-3 불교 계율(戒律)-3 수계(受戒) 수계란 '계를 받는다'는 뜻입니다. 계를 받는다는 것은 계의 정신을 받드는 것이고 그것을 몸과 마음으로 지키겠다는 맹세입니다. 계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몸소 실천하신 모습입니다. 그러기에 계를 받아 지킨다는 것은 부처님 세계를 향한 최선의 사상이.. 불교 계율(戒律)-2 불교 계율(戒律)-2 보살사섭법(菩薩四攝法) '보리살타'라는 용어를 각유정(覺有情), 개사(開士), 대사(大士), 고사(高士), 대심중생(大心衆生), 시사(始士) 등으로 번역하는데 일반적으로 줄여서 '보살'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보리[菩提: Bodhi]'는 깨달음을 뜻하고 '살타[薩陀: Sattva]'는 중생[.. 불교 계율(戒律)-1 불교 계율(戒律)-1 최초로 부처께서 정각(正覺)을 이루신 후, 모든 인류에게 그 깨달음을 전하시고자 결심하시고 녹야원[鹿野苑, M gad ya]에서 5명의 귀의자를 얻고서야 비로소 부처님을 위로하여 교단, 즉 승가[僧伽, Sa gha]가 성립되었다. 그 후 여러 곳으로 유행설법(遊行說法)하여 제자의 .. 한국불교사-22 한국불교사-22 22. 근대 불교- 1990년대 불교 -종단개혁투쟁의 발단과 그 전개- 1)종단개혁투쟁의 발단- 서의현 반대투쟁 종단개혁투쟁은 서의현 반대투쟁을 그 촉발지점으로 하여 개혁회의의 출범과 해체, 개혁종단의 출범, 개혁종단의 지속적인 개혁작업을 포괄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종.. 한국불교사-21 한국불교사-21 21.근대 불교- 1970년대, 1980년대 불교 -통합종단 조계종내의 분규- 1950년대 정화운동에서부터 잘못 끼워진 단추는 통합종단이 들어 선 이후에도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면서 한국불교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비구-대처 분쟁을 통해 비구 중심의 조계종이 한국불교의 최대종단.. 한국불교사-20 한국불교사-20 20. 근대 불교- 1950년대, 1960년대 불교 -정화운동(잘못 끼워진 단추)- 1) 정화운동의 태동- 1차 혁신운동 일제국주의의 대한(對韓)불교정책은 한국불교의 왜색화와 총독부로의 종권이양책을 그 골자로 하였으며 이는 대처승의 육성과 사찰령의 실시로 현실화되었다. 이러한 제.. 한국불교사-19 한국불교사-19 19.근대 불교 -불교의 영향- 근대 불교의 시기는 편의상 승려의 입성금지 해제(1895년)에서 8.15해방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여기에서 입성해제의 의미를 한 번 살펴보자. 입성해제는 1895년 일본의 승려 사노의 상서(上書)하에 이루어졌다. 조선 건국이래 500여년간 줄곧 핍박받.. 이전 1 2 3 4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