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한시.법어

꿈에 난새를 타고 푸른 허공에 올랐다가~

꿈에 난새를 타고 푸른 허공에 올랐다가~

 

 

夢跨飛鸞上碧虛(몽과비란상벽허) 꿈에 난새를 타고 푸른 허공에 올랐다가
始知身世一遽廬(시지신세일거려) 비로소 몸도 세상도 한 움막임을 알았네
歸來錯認邯鄲道(귀래착인한탄도) 한바탕 꿈길에서 깨어나 돌아오니
山鳥一聲春雨餘(산조일성춘우여) 산새의 울음소리 봄비 끝에 들리네

 

 

중국 송나라 때 대혜종고(大慧宗曠)선사가 있었다.

간화선의 거장으로 당시의 사대부들과 교유하면서 서찰로 참선공부를 지도하였다.

그가 쓴 『서장(書狀)』이라는 책에는 42명의 사대부들과 주고받은 편지가 수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유일한 여성이 등장하는데, 위 시의 작자 진국태부인(秦國太夫人)이다.

30세에 미망인이 되어 40여년을 불교수행을 하며 살았다고 한다.

아들이 출세하여 차남은 승상(정승)이 되고, 큰아들도 요즈음 법무부 고위 관직인 제형(提刑)이 되었다.

본래 성씨는 허()씨였는데 고귀한 신분이라, 나라에서 준 진국태부인秦國太夫人)이라는 호칭을 썼다.

대혜스님이 이 부인의 편지를 받고 깜짝 놀랐다.

그것은 부인이 정말 위 시와 같은 경지에 올라 정말 공부가 된 사람인가 의심을 하였다.

도겸이라는 스님으로부터 자세한 이야기를 듣고서야 의심이 풀려 대혜스님 자신이 기쁨을 이기지 못한다.

그리하여 이참정, 유보학과 함께 대혜스님으로부터 인가를 받는 42명 중의 3인이 된다.

 

꿈에 난새라는 새를 타고 허공에 올랐다는 말은 묘한 상징성이 있는 말이다.

높은데 올라가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세상은 작게 보이고

내가 커진 것 같으면서 집착하던 일에서 쉬이 초월되어 떠나짐을 느낀다.

그야말로 세상은 한 움막 같은 것이다.

견고하지 못하고 잠시 임시로 머무는 거적대기 얽어 놓은 것에 불과하다.

서산스님도 만국도성이 개미집 같다 하였다.

멀리 보면 세상은 집착할 데가 없어진다.

 

프랑스의 르낭은 별의세계에서 지상의 사물을 관찰하라고 하였다.

꿈을 깨고 나면 몽경은 없는 것이고 또 없었던 것이다.

한단몽이라는 설화는 여생이라는 사람이 여옹이라는 도사를 만나 자기의 빈곤을 탄식하니,

여옹이 주머니에서 베개를 꺼내주며 이것을 베고 자면 부귀영화를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했다.

여생이 베개를 베고 자다 꿈에 30여년의 부귀영화를 누렸는데 깨어보니

부엌에서 짓던 밥이 아직 익지도 않았더라는 설화로, 한바탕 꿈과 같은 허망한 일을 비유하는 말이다.

마지막 구절의 깨고 보니 봄비 끝에 산새의 울음소리 들린다는 말이 너무나 생생한 여운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