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문답(山中問答)
問余何事栖碧山(문여하사서벽산) 내게 왜 산에 사느냐고 묻는다면
笑而不答心自閑(소이부답심자한) 빙그레 웃을 뿐 대답 못해도 마음 더욱 넉넉하네
桃花流水杳然去(도화류수묘연거) 복사꽃 물에 흘러 아득히 가니
別有天地非人間(별유천지비인간) 인간세상 벗어난 또 다른 세계라네
너무나 잘 알려진 이태백의 산중문답(山中問答)이라는 시다.
산거(山居)생활의 탈속한 맛이 진하게 느껴지고 있다.
왜 산에 사느냐는 말에 빙그레 웃을 뿐, 모든 것에서 초월된 마음이
저절로 한가롭기만 하다는 두 번째 구는 정말 뉘앙스가 미묘하여 깊은 여운을 남기고 있다.
사실 세상사라는 것이 별 것 아닐 수도 있다.
죽느니 사느니 하는 범부들의 문제가 속세를 초월해 버릴 때는 아무 것도 아닐 수 있다는 말이다.
무릉도원의 선경(仙境)을 읊은 시라고 알려져 있지만
이상세계를 동경하는 인간의 순수한 정서를 소담하게 나타내었다고도 하겠다.
세상의 근심걱정을 이고 살 때는 선(禪)을 맛볼 수 없다.
잠시라도 근심을 풀고 자기의 본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본래 마음이란 번뇌 망상이 일어나기 이전의 마음이다.
예로부터 산은 시끄러운 세상을 피하는 인간의 휴양처로 인식되기도 했다.
또한 사색과 명상을 할 수 있는 수행의 곳이었다.
특히 불교에서는 입산출가니 입산수도니 하는 말을 써 오면서
도를 닦으러 산에 들어간다 하였다.
산중에 산다는 것은 세상의 시끄러움을 벗어났다는 뜻과 함께 수도에 종사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연을 가장 가깝게 느낄 수 있는 곳도 산이다.
숲이 있고 골짜기가 있고 봉우리가 있고 기슭이 있다.
산은 인간과 자연이 동화되는 곳이어서 명상이나 선(禪)수행을 하기에 아주 좋은 곳이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늬바람 불자 비는 벌써 그쳤네. (0) | 2016.08.12 |
---|---|
산은 무심히 푸르고~ (0) | 2016.07.23 |
밤마다 부처를 안고 자고~ (0) | 2016.07.02 |
돌아와 발을 씻고 침상에 올라 자다(山月) (0) | 2016.06.17 |
나고 죽는 게 걱정 없으니~ (0) | 2016.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