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처럼 뜻을 세우다 / 懶翁禪師
覺性無迷亦無悟 [각성무미역무오]
不離當處豁然開 [불리당처활연개]
於斯更欲求玄妙 [어사갱욕구현묘]
劫劫無能振法雷 [겁겁무능진법뢰]
깨달음의 본성에 미(迷)도 없고 오(悟)도 없으니
당처를 놓치지 않으면 활연히 열린다
이에 다시 현묘함 찾으려 하면
무한 시간에 법의 우뢰 울리지 못하랴
이 시는 나옹선사(懶翁禪師)가
게송을 요구하는 제자 뇌선(雷禪)에게 준 시이다.
깨달음의 본성에 원래
어리석음이나 깨우침이 따로 있을 수가 없다.
어리석음은 어리석음에 더욱 매달려
깨달음의 길로 들어서지 못하기에
끝내 혼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깨달음도 홀연한 깨달음이 있겠지만
그 또한 지혜로움으로 구하는
수련의 과정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그러기에 점점 수련의 과정을 거쳐 가야 한다는
점수(漸修)가 필요하다.
그러나 길을 제대로 찾지 못하여
바로 당해의 핵심적 당체를 알지 못하면
그 또한 어리석음의 헤매임이니,
이 당처인 그 곳을 제대로 찾고,
찾았으면 거기에서 벗어남이 없는
정진이 있어야 깨달음의 길로 들것이고,
이 정진의 결실이 활연한 열림이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선의 수련이요,
이 수련은 항시 정진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래서 홀연한 깨우침 뒤에도
점점 수련해야 한다는 돈오점수(頓悟漸修)가 강조된다.
활연한 깨달음이 열린 뒤에
다시 더 현묘한 진리를 찾으려 노력하라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무한의 겁 속에 항시
법의 우뢰 소리가 울릴 것이 틀림 없는 것이다.
선사의 이 시는 참선의 묘체에 대한
일반성을 음미한 것이기는 하나
이 시를 요구한 제자의 이름이 뇌선(雷禪)이기에
이 이름에 걸맞는
우뢰(雷)의 법음에다 맞추어 지은 시이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허선사(鏡虛禪師) 참선곡(參禪曲) (0) | 2015.02.07 |
---|---|
山居(산 살이) -서 경덕- (0) | 2015.02.05 |
헛된 이름 그것은 나그네 (0) | 2014.11.18 |
가을산 잎은 절로 붉다 (0) | 2014.11.06 |
어느 것인들 선(禪) 아닌가? (0) | 201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