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한시.법어

흐르는 물은 산을 나가도~

흐르는 물은 산을 나가도~

 

 

流水出山無戀志(유수출산무연지)  흐르는 물은 산을 나가도 산을 그리워하지 않고

白雲歸洞亦無心(백운귀동역무심)  흰 구름은 골짜기로 돌아와도 또한 무심하다네

一身去來如雲水(일신거래여운수)  이 한 몸 오고 감도 구름과 물과 같아

身是重行眼是初(신시중행안시초)  몸은 다시 와도 눈은 처음 그대로 보고 있네

 

 

백운경한(白雲景閑,1298~1374)선사는

고려 말의 대표적인 선승으로 이름나 있다.

7살의 어린 나이로 출가한 그는

54세가 되던 해에 원나라에 들어가

임제종 18세손인 석옥청공(石屋淸珙)선사의

법을 이어 받고 돌아왔으며,

인도 출신 고승 지공(指空)화상의 가르침을 받기도 했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이루어진

<불조직지심체요결(佛祖直指心體要訣)>을 편찬하기도 하였다.

그의 선풍은 한마디로 무심선(無心禪)이라

할 정도로 무심의 도리를 읊은 시가 많다.

시자였던 석찬(釋璨)이 수집해 만든 그의 어록

<백운화상어록>하권에는 125 수의 선시가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