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한시.법어

푸른 산기슭에 집 지어 살지만~

푸른 산기슭에 집 지어 살지만~

 

 

家住碧山岑(가주벽산잠)  푸른 산기슭에 집 지어 살지만

從來有寶琴(종래유보금)  내 원래 보배 거문고를 가지고 있네.

不妨彈一曲(불방탄일곡)  한 곡조 타 보라면 탈 수 있지만

祗是少知音(지시소지음)  누가 내 곡조 알아주려나.

 

-청평거사(淸平居士) 이자현(李資玄:1061~1125)-


이 시는 수도인의 지조와 기상을 읽을 수 있는 시이다.

그는 고려 예종의 입궐제의를 끝까지 사양하고 청평산 문수원에서

일생을 수행에 전념한 고려왕조를 대표하는 거사 수도인이었다.

<능엄경>에 매료 탐닉하다 능엄선풍을 일으켰다고 후대에 와서 평가 받았다.

보배 거문고는 여래장묘진여성(如來藏妙眞如性) 곧 자기불성을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 무생곡(無生曲)이 노래 되어 나오므로 보배 거문고라 하였다.

이 곡에 화답하는 자가 그리운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