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락생태공원 연꽃단지
연(蓮)
수련과 (Nelumbo nucifera GAERTNER)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연못에서 자라는 식물인데 논밭에다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주형이고 마디가 많으며 가을철에 끝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근경(根莖)에서 나와 물위에 높이 솟고 원형에 가까우며 백녹색이고,
엽맥이 사방으로 퍼지며 지름 40㎝ 정도로서 물에 잘 젖지 않는다.
엽병(葉柄:잎자루)은 원주형이며 짧은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꽃은 7, 8월에 피고 지름 15∼20㎝로서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며,
화경은 엽병처럼 가시가 있고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길이 8∼12㎝, 너비 3∼7㎝로서 도란형 둔두이며
화탁은 크고 해면질이며, 길이와 지름이 각각 10㎝로서 표면이 평탄하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2㎝ 정도로서 먹을 수 있다.
원산지는 인도이며 오래 전부터 재배되어 왔다.
연꽃은 진흙 수렁에서 자라면서도 물들지 않고 더럽혀 지지 않는 깨끗함과 향기로움을 지니고 있다.
불교 경전에는 연꽃에 대한 말씀이 자주 나오는데,
특히 최고 경전이라고 불려지는 묘법연화경에는 연꽃에 비유하여 가르침을 폈다.
연화심(蓮華心)이란, 우리가 본래 가지고 있는 마음을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이라 하여
근본 마음은 물들지 않는 청정한 마음이므로 우리의 마음을 연꽃에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
연꽃은 처음 꽃잎이 피어나면서 그 속의 열매를 보호하고,
꽃잎이 떨어지면서 열매를 내 보이며,
꽃잎이 떨어지면 드디어 잘 익은 열매만 남게 된다.
이것은 연꽃의 속성으로 부처님의 一代時敎(일대시교)를 비유한 것으로
처음에는 방편(方便)의 가르침으로 시작해서 차츰차츰 제자들의 수준을
끌어올려 드디어는 방편은 떨어지고 진실한 모습,
즉 실상만이 남아 천지 우주 이대로 극락이요,
불국토임을 연꽃으로 비유한 것이다.
또한 선가에서 염화시중의 미소요, 이심전심의 묘법이라는 말이 있다.
어느 날 영산회상에서 부처님이 설법을 하시지 않고 곁에 있는 연꽃 한 송이를 들어
대중에게 보였는데 제자중에 가섭존자가 홀로 미소를 지었다고 한다.
이것은 마음으로 속속들이 전하는 도리로서 선종에서는
세곳에서 마음을 전한 이치라 하여 중히 여기고 있다.
연꽃이 불교의 상징적인 꽃이 된 것은 다음 몇 가지 이유에서인데~
첫째, 처렴상정이다.
연꽃은 깨끗한 물에서는 살지 않는다.
더럽고 추하게 보이는 물에 살지만,
그 더러움을 조금도 자신의 꽃이나 잎에는 묻히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불자가 세속에 처해 있어도 세상의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오직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들어 아름다운 신행의 꽃을 피우는 것과 같다.
둘째, 화과동시이기 때문이다.
연꽃은 꽃이 핌과 동시에 열매가 그 속에 자리를 잡는다.
이것을 연밥이라 하는데,
즉 꽃은 열매를 맺기 위한 수단이며 열매의 원인인 것이다.
이이 꽃과 열매의 관계를 因과 果의 관계라 할 수 있으며
인과의 도리는 곧 부처님의 가르침인 것이다.
셋째, 연꽃의 봉오리는 마치 우리 불교신도가 합장하고 서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부처님 앞에 합장하고 경건히 서 있는 불자의 모습은
마치 한 송이 연꽃이 막 피어 오르는 것과 흡사한 것이다.
이러한 몇 가지 이유에서 연꽃은 불교의 상징적인 꽃으로 사랑을 받는 것이다.
연은 버릴 것이 없을 정도로 모든 부분이 유용하게 쓰인다.
연의 잎은 피부나 점막의 국소에 작용하여 단백질을 응고시켜 염증을 제거하고 보호하며,
혈관을 수축시켜 지혈하거나 설사를 멈추게 하는 수렴, 지혈작용을 하며,
민간요법으로 오줌싸개 치료에 이용된다고 전해온다.
또 연의 땅 속 줄기인 연근은 비타민과 미네랄의 함량이 높아
생체나 여러 요리에 다양하게 쓰인다.
연잎은 밥을 해서 쪄먹기도 하고, 샐러드 재료로 쓰이기도 하며,
훌륭한 천연 방부제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뿌리는 식재료로 다양하게 조리해 먹기도 하고,
또 연꽃은 효소를 만들어 식재료에 함께 첨가해 쓰인다.
연은, 연(蓮·Loutus)과 수련(睡蓮·Lily) 두 종류가 있다.
연의 경우 수면 위에 펼쳐진 뜬 잎과 수면 위로 솟아올라 펼쳐진 선 잎이 함께 있으며
꽃이 수면보다 높이 솟아올라 피는 정수식물(挺水植物)로,
표면은 물이 스며들지 않게 하는 발수성이 있어서, 물이 묻지 않고 연잎 위에 방울로 맺힌다.
수련은 잎이 모두 수면에 펼쳐진 뜬 잎의 부수식물(浮水植物)이라서,
수면 위로 잎이 높이 솟는 경우가 없이 꽃도 대부분 수면 높이에서 피고,
발수성이 없어서 잎의 표면에 물이 묻는다.
수련(睡蓮)
수련과(睡蓮科 Nympha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밑부분에서 많은 뿌리가 나온다.
뿌리에서 나온 긴 잎자루에 달리는 두꺼운 잎은 난형으로 물 위에 뜨고
화살촉과 같이 중앙을 향해 갈라져 있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밤에는 꽃잎이 접히고, 3일 동안이나 피었다 닫혔다 한다.
시든 꽃은 물 속으로 모습을 감추고 열매도 물 속에서 맺어
추한 모습을 보이지 않아 연못의 관상식물로 적합하다.
열매는 꽃받침에 싸여 있으며 물 속에서 썩어 씨를 방출하는데,
씨는 육질의 씨껍질[種衣]에 싸여 있는데 민간에서는 지혈제로 이용한다.
중국, 소련, 인도, 일본에도 분포한다.
수련의 속명(屬名) 님파이아(Nymphaea)는 로마 신화에 나오는
물의 여신 님프(Nymph)에서 유래되었다.
수련속(睡蓮屬 Nymphaea) 식물은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40여 종(種)이 있는데,
한국에는 수련과 애기수련(N. minima)이 서식한다.
愛戀說 (애련설)
予獨愛蓮之出於 (여독애연지출어)
泥而不染 濯淸漣而不妖 (니이불염 탁청련이불요)
中通外直 不蔓不枝 (중통외직 불만부지)
香遠益淸 亭亭淨植 (향원익청 정정정식)
河遠觀 而不可褻玩焉 (하원관 이불가설완언)
내가 오직 연을 사랑함은
진흙 속에서 났지만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어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이 소통하고 밖이 곧으며
덩굴지지 않고 가지가 없기 때문이요,
향기가 멀수록 더욱 맑고,
우뚝 깨끗이 서 있어 멀리 바라볼 수는 있으나
함부로 가지고 놀 수 없는 연꽃을 사랑한다
-주돈이(周敦頣 ·1017~1073) 중국 송나라 성리학자-
수련(睡蓮)은 아침에 피고 밤이 되면 잎을 오므려서 잠을 자는 연꽃이다.
그래서 수련의 '수'자는 물(水)나 빼어날 수(秀)가 아닌 잠잘 수(睡)를 쓴다.
수련의 꽃말은 '결백', '신비' 입니다.
옛날 아름다운 딸 셋을 둔 여신이 있었습니다.
그녀는 딸들의 장래를 생각하여 딸들을 불러 그들의 희망을 물어 보았습니다.
“너희들의 희망이 무엇인지 알고 싶구나,
서슴치 않고 말해주지 않겠니?”
맏딸이 먼저 대답했습니다.
“저는 물을 지키는게 제 소원입니다.”
둘째 딸은 물을 떠나지 않고서 신의 섭리대로 따르겠다고 했습니다.
막내 딸이 뒤이어 말했습니다.
“전 신과 어머님이 시키는 대로 따르겠어요.”
어머니는 고심끝에 큰딸은 바다를 지키는 신으로,
둘째 딸은 해협의 주인으로,
막내딸은 연못의 여신으로 만들었습니다.
그후 연못의 여신이 된 막내딸은 여름만 되면 수련꽃으로 피어났다고 합니다.
때문에 수련을 'Water Nymphaea' 즉 '물의 요정'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꽃과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7.11 함양 백운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7.14 |
---|---|
2015.7.5 산들늪,재약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7.07 |
2015.6.28 신불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6.30 |
2015.6.21 수리봉.억산.범봉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6.23 |
2015.6.13 천성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