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典講解

금강경 강해-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제31

-지견불생분(知見不生分) 31-

 

 

사람들의 알음알이로 헤아려 아는 것과 분별하는 마음이 끊어지고

보는 것마저 생기지 않아야 비로소 실답게 반야바라밀을 알고

제대로 반야바라밀을 보게 됩니다.

여래는 지금까지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말한 적이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사람에 대하여, 또 우리들의 인생에 대하여

나는 이렇게 안다, 나는 이렇게 확실하게 본다 라고 할 수 없습니다.

어떤 견해도 있을 수 없습니다.

 

고정된 견해에 매달리지도 집착하지 않고 실답게 알고 실답게 보아야만 합니다.

구함이 없고 집착함이 없음을 배우면 나지도 죽지도 않는

영원한 마음의 도리를 깨우치게 됩니다.

나지도 멸하지도 않고, 추하지도 깨끗하지만도 않으며,

늘어나지도 줄어들지도 않는 그것을 일러 부처라고 합니다.

 

 

須菩提야 若人이 言佛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라하면

수보리    약인    언불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是人이 解我所說義不아 不也니이다

수보리    어의운하    시인    해아소설의부    불야

 

世尊하 是人이 不解如來所說義니 何以故오 世尊하

세존    시인    불해여래소설의    하이고    세존

 

說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은 卽非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일새

설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즉비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是名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이니이다

시명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을 말하였다’한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은 나의 말한 바 뜻을 이해하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여래께서 말하신 뜻을 알지 못합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은

곧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고 그 이름이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입니다."

 

『금강경』전체 삼십이분 중 제 일분을 서분(序分)이라 하고

제 이분부터 제 삼십일분까지가 본론에 해당되는데 이를 정종분(正宗分)이라 합니다.

그러니까 이 분은 정종분의 마지막 부분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대해 말해 왔습니다.

 

나에 대한 집착 내지 자만심, 남에 대한 차별 의식이나 선입관,

못났다는 열등 의식, 나이로 인해 벌어지는 여러 가지 한계 의식등이

생각 상()의 상태를 지나 딱딱한 돌덩이 처럼 하나의 형상으로 굳어져

우리 내부에 확실하게 자리잡고 있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생기게 된 초기의 의미를 여기에서 다시 한 번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즉 상이 생기게 되는 소견을 한 번 짚고 가자는 의미에서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의 무상, 무주를 한 번 더 강조하는 것입니다.

 

 

須菩提야 發阿縟多羅三藐三菩提者 於一切法에 應如是知하며

수보리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자 어일체법    응여시지

 

如是見하며 如是信解하야 不生法相이니 須菩提야

여시견       여시신해       불생법상       수보리

 

所言法相者는 如來가 說卽非法相일새 是名法相이니라

소언법상자    여래    설즉비법상       시명법상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발한 사람은 모든 법에

응당 이와 같이 알며 이와 같이 보며 이와 같이 믿어서

법이란 상을 내지 말아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말한 바 법상이란 여래가 설하되 곧 법상이 아니고

그 이름이 법상이니라."

 

우리 중생들은 처처착(處處着)이라 하여 마음만 떼었다 하면

어디에라도 집착하려고 합니다.

나라는 소견, 나 아닌 남에 대한 선입견, 중생이라는 견해,

나이에 집착하는 좁은 마음이라는 것도 본질적으로 보면 사실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름 붙여 주자니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라 할 따름입니다.

 

보리심을 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모든 사물과 나의 인생 나아가

다른 사람의 인생도 이와 같음을 알고 이와 같이 믿어 상을 내서는 안 됩니다.

심지어는 진리다 하여 법()에 매달려서도 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진리이다, 이것은 보리심이 아니다 하는 법상이라는 것도

허망하기 짝이 없습니다.

 

인연이 있는 동안만 그러한 것이지 영원 불변할 것이라고 달라붙을 것이

못 되는 것이므로 곧 법상이 아니고 단지 이름하기를 법상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 모두는 본래로 성불되어 있는 존재로 믿으며

만상 너머의 참 마음자리로 곧장 들어가야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