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9)
-법성게 강의 (7)-
23) 시고행자환본제 (是故行者還本際)
- 그러므로 수행자가 본제에 돌아가려면
24) 파식망상필부득 (叵息妄想必不得)
- 망상을 쉬지 않으면 되지를 않네
25) 무연선교착여의 (無緣善巧捉如意)
- 조건없는 선교방편 마음대로 잡아
26) 귀가수분득자량 (歸家隨分得資糧)
- 집에 돌아가 능력따라 양식을 얻나니
이상의 4구는 수행의 방법을 설해 놓은 대목이다.
행자는 탄탄한 믿음을 가지고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구도자로 보리심(菩提心) 을 일으킨 사람이다.
본제(本際)에 돌아간다는 것은 법성의 당체를 가리키는
본래의 자리란 뜻인 깨달은 세계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이것은 바로 시간과 공간의 근원이 되는 자리로
안으로 증득된 해인(海印)의 경계다.
중생 모두가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 성품 자리이기도 하다.
여기에 돌아가면 중생이 부처로 전환된다.
여기에 돌아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나'에 집착하는
망상이 남아 있어서는 안된다.
다시 말하면 무아(無我)의 이치를 통달해야 본제에 돌아갈 수 있다는 말이다.
'파'는 불가(不可)의 뜻이다.
이렇게 해서 해석하는 것은 행자가 수행의 도중에 있어
앞으로 본제를 향해 나가는 경우이다.
미래를 향해 수행을 진행하는 차원에서 '파'를 불가의 뜻으로 새기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해석에는 또 달리 해석하는 경우가 있었다.
'파'를 '자못'이나 '마침내'의 부사로 새겨, 망상을 쉬려 할 것이 없다.
즉 다시는 망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새긴다.
이는 수행을 완성하여 본제에 돌아갔을 경우로 본제에 돌아 가면
일체 망상이 떨어진다는 뜻이다.
고려의 화엄대가인 균여대사는 이렇게 두 가지 뜻으로 설명하였다.
'초발심시변정각'이란 앞에 나온 구절의 인 과(因果) 동시적 의미에서 볼 때는
후자의 해석이 화엄교의에 더 적합한 것 같기도 하다.
무연(無緣)이란 괸계의 매임이 없다는 말로 조건이 없음을 뜻한다.
무연대비(無緣大悲)라는 말이 있듯이 무위심(無爲心)에서
실천 되어지는 것은 모두가 무연이 된다.
서양 신학에서 말하는 아가페agape 정신과 유사하다.
선교란 방편을 잘 쓰는 훌륭한 솜씨를 일컫는 말이다.
여의(如意)를 잡았다는 말은 뜻대로 걸림없이 이룬다는 뜻이다.
순조로운 수행의 성취를 나타내는 말이다.
집에 돌아간다는 것은 곧 본제, 법성(法性)의 집이다.
만유의 근원인 이 법성의 집은 일체 중생들의 생명의 실상 자리이다.
자량은 생명을 보존하는 양식인데 전(轉)하여 수행의 공덕을 이루는
여러 가지 실천덕목이라 할 수 있다.
'經典講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한문,한글 전문 (0) | 2015.09.08 |
---|---|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10 (0) | 2015.09.03 |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8 (0) | 2015.08.25 |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7 (0) | 2015.08.18 |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6 (0) | 2015.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