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간 국화는 피고-
靜他千般現 (정타천반현)
動他一物無 (동타일물무)
無無是十痲 (무무시십마)
霜後菊花稠 (상후국화조)
고요하면 천 가지가 나타나고
움직이면 한 물건도 없네
무(無), 무(無) 이 무엇인가
서리 내린 후 국화가 만발하네
태고 보우(太古 普愚1301∼1382)선사
고려말의 고승. 법명은 보허(普虛), 호는 태고(太古). 홍주(洪州)출신, 속성은 홍씨다.
13세에 출가하여 회암사(檜巖寺) 광지(廣智)의 제자가 되었고, 얼마 뒤 가지산(迦智山)으로 가서 수행하였다.
19세부터 '만법귀일(萬法歸一)'의 화두(話頭)를 혼자서 참구하였고, 26세에 화엄선(華嚴選)에 합격하였다.
그 뒤 불경을 열람하면서 깊이 연구하였으나, 불경의 연구가 수단일 뿐,
진정한 수행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고 선수행(禪修行)에 몰두하였다.
1333년(충숙왕 복위 2) 가을에는 성서 감로암(甘露庵)에서 죽기를 결심하고 7일 동안 정진 하였다.
그때 푸른 옷을 입은 두 아이가 나타나서 더운 물을 권하였는데 받아서 마셨더니 감로수였으며, 그때 홀연히 깨친 바가 있었다.
1337년 가을에는 불각사(佛脚寺)에서 <원각경(圓覺經)>을 읽다가
"모두가 다 사라져 버리면 그것을 부동(不動)이라고 한다."는 구절에 이르러 모든 지해(知解)를 타파 하였다.
그 뒤 송도의 전단원(檀園)에서 조주(趙州)의 무자화두(無字話頭)를 참구하였으며, 1338년 1월 7일에 대오(大悟)하였다.
1341년(충혜왕 복위 2)에는 중흥사(重興寺)에서 후학들을 지도하였고,
중흥사 동쪽에 태고암(太古庵)을 창건하여 5년 동안 머물렀다.
이때 중국 영가대사(永嘉大師)의 <증도가(證道歌)>를 본떠서 유명한 <태고암가> 1편을 지었다.
1347년 7월에 호주 천호암(天湖庵)으로 가서 석옥(石屋)을 만나 도를 인정받았고,
40여일 동안 석옥의 곁에서 임제선(臨濟禪)을 탐구하였다.
그가 떠나려 하자 석옥은 <태고암가>의 발문을 써주는 한편 깨달음의 신표로 가사(袈裟)를 주면서,
"이 가사는 오늘의 것이지만 법은 영축산에서 흘러나와 지금에 이른 것이다.
지금 그것을 그대에게 전하노니 잘 보호하여 끊어지지 않게 하라."고 하였다.
1348년에 귀국하여 중흥사에 머물렀으며, 도를 더욱 깊이 하고자 미원의 소설산(小雪山)으로 들어가
4년 동안 농사를 지으면서 보임(保任)하였다.
이때 <산중자락가(山中自樂歌)>를 짓기도 하였다.
1363년에 신돈(辛旽)이 공민왕의 총애를 받아 불법을 해치고 나라를 위태롭게 하므로,
보우는 "나라가 다스려지려면 진승(眞僧)이 그 뜻을 얻고, 나라가 위태로워지면 사승(邪僧)이 때를 만납니다.
왕께서 살피시고 그를 멀리하시면 국가의 큰 다행이겠습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그러나 신돈의 횡포가 더욱 심하여 졌으므로 왕사의 인장을 반납하고 전주 보광사(普光寺)에 가서 머물렀다.
1368년 여름 신돈의 참언으로 속리산에 금고(禁錮)되었는데,
이듬해 3월 왕이 이를 뉘우치고 다시 소설산으로 돌아오게 하였다.
1371년(우왕 7) 겨울에 양산사(陽山寺)로 옮겼는데, 부임하던 날에 우왕은 그를 국사로 봉하였다.
<태고집(太古集)>에는 그의 사상과 경지를 알게 하는 법어와 시 등이 수록되어 있어
그의 불교에 대한 깊이와 경지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공민왕이 불러서 나라를 다스리는 일을 물었을 때는 "거룩하고 인자한 마음이 모든 교화의 근본이요 다스림의 근원이니,
빛을 돌이켜 마음을 비추어 보라고 하였고, 때의 폐단과 운수의 변화를 살피지 않고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는 또 왕도의 누적된 폐단, 정치의 부패, 불교계의 타락 등에 대하여 개혁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고,
서울을 한양으로 옮겨 인심을 일변하고 정교(政敎)의 혁신을 도모하기를 주장하였으나 끝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선문구산(禪門九山)을 일문(一門)으로 통합하여 종파의 이름을 도존(道存)으로 할 것 등을 건의하였다.
1382년 여름에 "돌아가자, 돌아가자." 하고는 곧 소설산으로 돌아왔다.
12월 17일에 언어와 동작이 둔해지더니, 23일 문인들을 불러 "내일 유시(酉時)에 내가 떠날 것이니,
지군(知郡 : 군수)을 청하여 인장을 봉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이튿날 새벽에 목욕한 뒤 옷을 갈아입고 유시가 되자 단정히 앉아 임종게를 남기고 입적하니,
나이 82세, 법랍 69세였다.
시호는 원증(圓證)이다.
그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조(宗祖)로 받들어지고 있다.
저서로는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2권과 <태고유음(太古遺音)>6책 등이 있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은 붉고 반은 푸르네 (0) | 2015.10.13 |
---|---|
본래부터 내 물건 (0) | 2015.10.03 |
浴川(욕천) (0) | 2015.09.19 |
하늘을 이불로 삼고 (2) | 2015.09.11 |
한산시(寒山詩) (0) | 201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