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은 예부터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명절로써
한식, 단오, 추석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설날은 새롭게 한 해를 출발한다는 점에서 '삼가는 날',
즉 '신일'이라 해 정갈한 마음가짐으로 새해의 첫날을 맞이했다.
오늘날 설의 의미가 많이 달라졌다 하더라도,
기원과 소망 그리고 풍요의 의미는 퇴색되지 않을 것이다.
조상님께 예를 올리는 날인 설날이지만 설날상 차리는 법은 매번 헷갈리고 어렵다.
설날 차례상 차리는 법과 차례 지내는 순서, 주의사항 등을 소개한다.
◇차례상 차리는 법
1열 :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를 놓고 떡국을 올린다.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고기는 서쪽,
두동미서(頭東尾): 생선 머리는 동쪽·꼬리는 서쪽.
3열 : 생선, 두부, 고기탕 등 탕류.
4열 : 좌포우혜(左脯右醯):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왼쪽부터 대추·밤·배·곶감,
홍동백서(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
◇차례상 준비 시 주의할 점
1.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재료는 쓰지 않는다
2.고추가루와 마늘 양념은 쓰지 않는다
3.붉은 팥은 쓰지 않고 흰 고물을 사용한다
4.음식차림엔 과일, 생선수, 산적 등은 1, 3, 5 등의 홀수로 놓는다.
◇설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으면 제주가 모사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을 한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2. 참신
기제사와 마찬가지로,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헌주
제주가 술을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의 잔에 바로 술을 따른다.
4. 시립
일동 잠시 공손히 서 있는다.
5. 사신
수저를 거둔다.
뚜껑이 있다면 덮고, 일동 2번 절을 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신다.
6. 철상, 음복
기제사와 마찬가지로, 상을 치우고 음식을 다 함께 나눠 먹는다.
◇세배하는 법
간단해 보이는 세배에도 법도가 있다.
여자와 남자의 세배하는 법은 손의 방향과 먼저 구부리는 발 등 조금씩 차이가 있다.
여자는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린 뒤,
손과 팔꿈치를 어깨 높이까지 수평으로 올려 고개를 숙인다.
시선은 양 손 사이로 바닥을 향하게 한다.
다리는 왼발을 먼저 구부린 뒤 오른발을 구부리고,
왼발을 위에 오도록 한 후 발을 포개 엉덩이를 붙여 앉는다.
손 모양은 수평을 유지한 채로 윗몸을 앞으로 반쯤 구부려 절하고,
앉은 반대 순서로 일어서면 된다.
남자는 여자와 손발의 위치가 다르다.
남자의 경우 손은 왼손을 오른손 위에 포갠 뒤,
팔꿈치와 손을 배 부근에 수평으로 올린다.
그 다음 허리를 굽혀 손으로 바닥을 짚은 뒤에는 왼발을 먼저 구부리고
오른발 마저 구부려, 오른발이 왼발 위에 가도록 포개 앉는다.
엉덩이는 발에 붙이고 앉는다.
그리고 손과 양 팔꿈치가 바닥에 닿으면,
얼굴을 손에 맞닿을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하면 된다.
이후에는 절한 반대 방법으로 일어서면 된다.
또한, 명절에 웃어른과 차를 마실 때
찻잔과 받침을 함께 드는 것도 잘못된 습관이다.
찻잔만을 두 손으로 가슴높이까지 들어 세 번 나눠 마시는 게 좋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귀향" (0) | 2016.03.07 |
---|---|
사진꾼은 싫어요" 꽃들의 절규 (0) | 2016.03.05 |
입춘(立春) (0) | 2016.02.04 |
그 동안 즐거웠네! “응답하라 1988” (0) | 2016.01.19 |
24절기(節氣)의 유래와 시기(時期)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