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좋은글...

무염청정(無染淸淨)

채근담에 "함께하되 물들지 말라"는 말이 있다.

명예와 권력, 이익과 욕망과 집착에 물들지 않아야 군자(君者)라 할 수 있다,

선행을 하려고 이곳 저곳을 기웃거리지 말라.

다만 물들지 않도록 조심하면 된다

 

선사(禪師)께서는, "부처란, 물들지 않은 본래의 본성 그대로를 말한다."고 하신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오염되지 않으면 다 부처이다.

삐쭉 삐쭉 솟은 산은 그대로 진리요, 오가는 구름은 인연이요,

만물은 생명이니, 우주 자연의 법계가 그대로 부처이다.

 

그런데, 순수한 존재가 인연의 과정에서 때가 묻어 바른 자연 법칙을 벗어나면 중생이 된다.

본래의 불성인 4(,,,)가 가합(假合)하여 육체를 이루는데,

육체가 실다운 주인인 줄 알고 다섯(,,,,) 감각 기관을 제 멋대로 움직여

육체의 욕심만을 채우니 이것이 때()이다.

 

이 다섯 기관을 통제하여 때를 없애고 본래의 성품으로 돌아가려 하는 노력이 수행이다.

이 수행을 게을리 하여 업장이 두터워지면 육도윤회를 벗어날 길이 없으니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 세 가지가 있다.

 

그 첫 번째가 인간으로 태어나는 일이며,

두 번째가 좋은 때와 곳에서 좋은 부모를 만나는 것이며.

세 번째가 도를 접하여 깨달아 성불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는 그 어려운 일 중에 두 가지는 이루었으니 이제 남은 것은

도를 배워 깨달아 성불하는 일이다.

사람 몸 받았을 때 깨달아 성불하라는 가르침이 불교이다.

선사(善師)들은 도의 근본이 무소유에 있다고 본다.

 

무위자연(無爲自然)이란 말은 자연은 그 무엇을 위함이 없다는 것이다.

무소유는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게 아니고

없어도 되는 것을 소유하지 말라는 뜻이니.

마음을 비우면 비울수록 자연에 가까워져 자유로워진다.

 

어리석은 자는 한 치 앞을 내다 보지 못하지만

현명한 이는 이 육체도 언젠가는 버리고 떠나야 할 것임을 알고 미리 대처한다.

진정한 행복은 물질에 있는 게 아니고 마음에 있으되,

개인의 안위를 위해 다른 이에게 불편함을 주어선 아니 되니 남을 먼저 살피고

작은 일에도 고맙고 감사하게 느끼는 마음을 키워야 행복한 삶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