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 2012.2.5
인원: 홀로
답사코스: 주례정/한효아파트갈림길~부산진구.양묘장~선암사~바람고개~성지곡수원지/산림욕장~
함박고개~금병약수터~약수사~부산전자공고갈림길~금강공원~산성로~부산대상단~달마사~효원재
GPS거리: 13.65km/ 널~널 5시간30분
일요일 아침 모처럼 느즈막히 개금집을 나와 도보로 신주례아파트.한효아파트를 지나고~
08:57 지난번 둘레길 마친지점인 주례정 정자가 있는 한효아파트갈림길에 도착하고~
09:00 룰루랄라 임도길따라 이번구간 둘레길 답사를 시작한다.
09:10 개금고개 갈림길에 내려서고~
이곳에서 사상구를 지나 부산진구로 들어선다.
09:15 “희망정” 쉼터 정자를 지나고~
부산진구청이 희망근로사업으로 만든 정자이다.
09:20 전망좋은 나무테크에서 바라본 엄광산의 전경
등나무약수터를 만나고~
시원한 약수물 한잔으로 목을 축이고 임도를 따라 계속 진행하여 천주교 신자들이 가꾼 꽃길을 지난다.
09:30 반도보라 아파트 갈림길을 만나고~
이곳으로 갓봉에서 내려온 낙동정맥이 지나가는 곳이다.
시(詩)가 있는 길
잠시 올라서니 4각정자가 있는 개금 우드빌아파트 갈림길을 만나고~
좌측으로 낙동정맥상의 갓봉으로 올라가는 등로도 있다.
서서히 내리막길이 시작되고~
진행하다 바라본 낙동정맥상의 유두봉과 애진봉의 전경
09:37 부산진구 양묘장을 지나고~
09:44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옥수약수터 갈림길을 지난다.
청풍정에 도착하니 시원한 바람이 불어대고~
09:48 정자가 있는 오행약수터 갈림길을 지난다.
살구꽃 핀 마을
계속 이어지는 룰루랄라길
09:55 당감4동 백선약수터 갈림길을 지나고~
백선약수터 갈림길을 지난 임도는 잠시후 완만한 오르막으로 바꿔지는데~
이곳 아래로 백양터널이 지나가고 있다.
잠시후 당감주공아파트 갈림길을 만나고~
당감주공아파트로 내려서는 길은 부산진구에서 만든 꽃내음”봄” 길이다.
다시 완만한 오르막길이 시작되고~
10:00 임도 우측으로 체육시설이 있는 백선약수터를 지나자마자 잠시만에 백양산 애진봉으로 오르는 임도갈림길을 만나고~
10:05 넓은터에 벤치 몇개가 있는 부산진구청 백양산 산불방지 현장본부를 지난다.
10:07 차, 불교용품을 판매하는 “휴휴정”을 지나고~
주변으로 주차장이 있는데 백양산 산행시 산꾼들이 이곳을 기점으로 활용한다.
10:10 선암사(仙巖寺)
선암사는 신라 문무왕 15년(675년) 원효대사가 창건했으며 원래 이름은 견강사(見江寺)였는데,
절 뒤 바위에서 신라 화랑들이 수련하면서 선암사로 바뀌었다.
선암사기에 따르면 고려 말 왜구들이 절에서 불상을 약탈했는데 그때부터 갖은 재앙이 잦아
왜구들은 불상을 되돌려주었다고 하는데, 당시 불상이 현재 극락전에 모셔져 있다.
미륵불을 그린 괘불 탱화와 쇠북, 삼층석탑 등이 볼만하다.
범종각
명부전: 안에는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地藏殿)이라고도 한다.
지옥계의 심판관인 시왕(市王)을 봉안하기때문에 시왕전(市王殿)이라고도 하는데~
시왕은 지옥에서 죄의 경중을 정하는 10위의 왕으로 진광왕, 초강왕, 송제왕,오관왕, 염라왕, 변성왕,
태산왕, 평등왕, 도시왕, 오도전륜왕을 말한다.
좌측에는 오명존자가, 우측에는 무독귀왕이 지장보살을 모시고 있다.
선암사 대웅전
선암사 계단을 통해 내려서고~
곧바로 좌측으로 진행하여 임도 차단기를 지나 바람고개로 향하니 시(詩)가 있는 길이다.
10:28 바람고개의 전경
바람고개에서 둘레길은 성지곡수원지 산림욕장으로 이어진다.
10:40 편백숲
1909년 국내 최초의 콘크리트 중력시 댐인 성지곡수원지를 건설하면서 심었던 나무가 편백나무, 삼나무, 전나무다.
그리고 성지곡이라는 이름은 신라의 지관 성지(聖知)가 발견한 명당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라 한다.
얼어붙은 계곡을 지나는데, 이 계곡이 성지곡수원지를 지나 동천으로 들어간다.
10:48 갈림길을 만나고~
우측 순환도로 방향으로 진행하니 가로등이 성지곡수원까지 이어진다.
10:54 산림욕장 갈림길을 만나고~
좌측 오르막길을 오르니 소나무숲과 울창한 편백숲이 이어진다.
잠시후 만난 약수터에서 물을 한 모금 마시니 마치 온몸이 “뻥”하고 뚫리는것 같다.
11:02 길 좌측으로 시비(詩碑)가 하나둘 보이더니 “시가 있는 숲”이라는 쉼터를 만나고~
이 숲 맞은편에 습지생태체험학습장이 있는데 습지 가운데에 한반도 모양으로 수풀을 가꿨다.
다시 완만한 오르막길이 시작되더니 삼림욕장 체육시설을 지난다.
11:15 낙동정맥 주능선 인 “함박고개”에 도착하고~
이곳에서 좌측으로 가면 만남의 숲, 곧장 진행하면 북구 만덕동 방향이다.
이곳은 금정산 둘레길이 아니라 갈맷길(성지곡수원지~범어사역)이며 낙동정맥 길이다.
둘레길이란 말 그대로 둘레길 답게 주능선에서 가장 아래로 지나가야 하는데, 주능선을 넘었다가
다시 되돌아오는 오류를 범한다면 과연 둘레길이라고 할수 있을까???
할수있나??? 다시 또 낙동정맥길을 따라 갈맷길로 진행한다.
잠시후 낙동정맥상의 341봉은 좌측으로 우회하여 쌍묘를 지나고, 구민의 숲도 지난다.
11:25 습지생태체험장을 만나고~
11:47 체육시설이 있는 금병약수터를 만나고~
이곳은 다른 약수터와 달리 계곡물이 아니라 땅속에서 용출되기에 오염이 될 수 없다.
이곳에서 둘레길은 약수터 뒤로 돌아 체육시설을 지난다.
11:56 갈림길을 만나고~ 동래 방향으로 직진한다.
12:00 만덕고개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서서 좌측으로 채마밭이 덕지덕지 산자락에 붙은 좁은 길을 내려간다.
12:15 통도사 말사인 약수사에 도착하고~
슬레트 지붕에 시멘트 담으로 만든 집인데 얼핏 봐선 절인 줄 모르겠다.
절을 지나 내리막길로 내려서니 길을 따라 초파일 연등이 아직도 달려있다.
12:18 콘크리트포장도로에 내려서서 “동래구” 이정표를 만나고~
잠시만에 마을버스 3번 버스종점이 나온다.
종점에서 좌측으로 돌면 지하통로를 만나고~
지하통로를 빠져나오면 좌측 오솔길은 금정산 제14등산로이고~
직진길은 만덕1터널이 개통되기 전의 옛길로서 만덕고개로 이어지며,
우측은 제1만덕터널로 이어지는 아스팔트 큰 도로다.
도로 가장자리로 편백 가로수가 길게 늘어선 인도를 따라 내려간다.
12:27 동래구양묘장을 지나고~
12:30 대덕사 입구를 지난다.
계속되는 내리막길에 다리를 건너면 좌측으로 금정산 제13등산로 안내도가 있다.
13:37 금용암.효자암 갈림길을 지나고~
12:38 부산전자공고 방향으로 가는 갈림길을 만나고~
입구의 이정표에는 지나온 방면으로 “만덕1터널”이라는 글이 보인다.
부산시에서 제작한 “금정산 숲속 둘레길”의 이정표인데 현재 금정산 숲속 둘레길은
이 곳에서 범어사 상마마을까지 16.48Km까지만 개설되었다.
소나무와 벚나무가 무성한 샛길을 걷다보면 좌측으로 폐쇄된 등산로가 나타나고~
12:50 철조망을 통과한다.
안내판
나무테크 다리를 지나고~
그러다보니 이 지역에는 생각보다 많은 묘지들이 있는것 같다.
12:55 갈림길을 만나 좌측으로 방향을 바꾸고, 잠시만에 우측으로 올라선다.
13:00 동래구 온천동 금강공원 안에 있는 부산시 지정기념물인 “이섭교비(利涉橋碑)”를 만나고~
이 비는 지금은 사라진 이섭교의 준공을 기념하는 비석인데~
1965년에 건립된 이섭교는 현재 동래구 안락동에서 연산1동으로 건너는 수영천에 놓은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다.
이곳에서 둘레길은 좌측으로 이어지지만~
우측으로 잠시 내려서서 독진대아문을 보고 다시 BACK이다.
13:10 동래부사 정언섭이 1731년 임진왜란으로 무너진 동래성을 보수공사를 기념하는
높이 2m70의 “내주축성비”를 만나고~
이 비는 조선 후기 축성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다.
이곳에서 우측의 금강공원 산책로를 따라 진행한다.
13:15 나무다리를 지나고~
잠시후 두번째 나무다리 앞은 삼거리인데~
“금정산 숲속 둘레길”은 부산대학 방향으로 이어지기에 좌측으로 오른다.
삼거리 우측에 있는 무속신앙기도처
13:22 화강암 너덜지대의 “금정산 숲속 둘레길” 이정표가 있는 삼거리갈림길에서 정면의 철조망을 통과하고~
이곳에서 좌측으로 올라서서 약수정사, 청룡사, 칠성암 입간판에서 우측으로 들어서서
계곡을 건너 진행해도 부산대운동장으로 이어진다.
잠시후 예전 동래식물원의 시설물인 버려진 다리를 건너 계곡을 건너고~
이곳에서 동래구와 금정구 경계를 넘는다.
13:45 갈림길을 만나 우측으로 진행한다.
13:50 제10등산로 입구를 지나고~
화강암 너덜지대에 도착하니 크기도 다양하고 모양도 제각각인 돌들이 수두룩하다.
부산대학교가 가까워지면서 우측 아래로 천태종 광명사도 보이고~
보광암으로 이어지는 임도를 지나고~
“금정산 숲속 둘레길”을 지나다보면 이런 안내판도 나타난다.
무위암으로 이어지는 임도를 지나고~
14:13 금정산 동문으로 향하는 등로를 버리고~
잠시 내려서서 산성로를 건넌다.
잠시후 부산대 울타리가 나오는데, 망가진 철 울타리를 통과한다.
원활한 둘레길 코스를 연결하기위해 부산시와 부산대가 향후 이 일대를 정비할 예정이라고 한다.
잠시후 좌측 “숲속산책로”로 진행하니 소나무숲 가운데 너른 쉼터가 있는곳에서 조금만 더 가면 정자가 있는데,
정자 주변에 천연 족욕장이 있다.
족욕장에서 나무데크를 따라 달마사로 진행하고~
14:23 달마사
다시 달마사입구 갈림길로 되돌아와 좌회전하고~ (진행방향에선 우회전이다.)
화강암 너덜지대를 만나고~
우측 아래로 부산대운동장에는 무슨 건물을 짓는지... 공사가 한창이다.
등로주위에 있는 기도처
효원재와 웅비관 건물 뒤편으로 내려서는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내려서고~
14:30 오늘구간의 날머리인 효원재갈림길에 도착한다.
효원재는 부산대 재학생과 졸업생들이 국가고시를 준비하기 위해 머무는 기숙사이다.
산행마무리를 하고있을즈음 마침 휴가나온 아들놈에게 전화가 오고~
이곳 지리를 잘아는 아들놈 덕택에 곧바로 부산대순환버스 종점으로 이동한다.
부산대지하철역에 내려 지하철1호선을 타고 서면역에서 2호선으로 바꿔타고 개금집으로~
'금정산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둘레길7 (부산대.효원재-범어사주차장) (0) | 2013.03.12 |
---|---|
금정산둘레길5 (만덕사회복지관-주례.한효아파트갈림길) (0) | 2013.03.12 |
금정산둘레길4 (화명정수장-만덕사회복지관) (0) | 2013.03.12 |
금정산둘레길3 (금곡역-화명정수장) (0) | 2013.03.12 |
금정산둘레길2 (계석마을-금곡역) (0) | 2013.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