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중미(山中味) -함허대사(涵虛大師)-
山深谷密無人到 (산심곡밀무인도)
盡日寥寥絶世緣 (진일요요절세연)
晝日閑看雲出峀 (주일한간운출수)
夜來空見月當天 (야래공견월당천)
爐間馥郁茶烟氣 (로간복욱차연기)
當上氤氤玉篆煙 (당상인인옥전연)
不夢人間喧憂事 (불몽인간훤우사)
但將禪悅坐經年 (단장선열좌경년)
산은 깊고 골짜기 가파르니 오는 이 없고
종일 고요하여 세상 인연을 끊었구나
낮이면 한가로이 산굴에서 일어나는 구름 보고
밤이 오면 하늘에 뜬 달을 본다네
화로에는 차 달여 더욱 향기 진하고
푸른 연기는 전서를 그리며 위로 오르네
인간 세상 번잡한 일 꿈에도 없으니
다만 즐거이 참선하며 세월 보내네
◈ 함허대사(涵虛大師)1376-1433 ◈
함허대사는 우왕 2년 충청도 중원(지금의 충주)에서 출생하였다.
법휘는 기화(己和), 법호(法號)는 득통(得通)이다.
대사의 나이 21세 때 동관의 벗이 죽는 것을 보고
세상의 무상함과 허망함을 깊이 인식하고 고뇌하다가
회암사로 가서 무학대사에게 머리를 깎고 출가하였다.
그 후 여러 곳으로 돌아다니면서 수행에 전념하였고,
1404년 봄에 회암사에 잠시 머물다 다시 공덕산 대승사에서
4년 동안 수행하였으며, 불회사에서 3년을 머문 뒤
1414년 3월에는 자모산 연봉사에서 함허당이란 당호를 걸고 3년을 정진하였다.
그 후 수행 납자들을 제접하기를 4년 동안 하였다.
1433년 조용히 앉아 입적하였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향산(望香山)" (0) | 2014.07.30 |
---|---|
월하독작(月下獨酌) (0) | 2014.07.26 |
아생(我生) -김시습- (0) | 2014.03.07 |
입적하기 직전에 읊었다는 서산대사의 해탈시(解脫詩) (0) | 2012.11.02 |
우연한 노래/ 경허스님 (0) | 201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