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절을 찾아서
1. 불자의 자세와 행동
1) 차수와 합장
- 차수: 수행 도량에서 합장을 하지 않고 서 있거나 걸을 때 취하는 손의 자세
- 합장: 불자들이 가장 많이 취하는 자세로 인도의 전통 인사법.
두 손을 모아 마주하는 것은 마음을 모은다는 뜻.
나와 남이 둘이 아닌 하나의 진리로 합쳐진 한 생명이 라는 뜻이 담김.
- 장궤합장: 수계식 등에 행하는 자세로, 무릎을 바닥에 대고 다리를 세운 채
합장을 하는 것.
- 호궤합장: 장궤합장의 모습에서무릎을 바닥에 대고 꿇어 앉은 모습.
2) 좌선 자세와 꿇어앉는 자세
- 결가부좌: 오른쪽 다리를 왼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고, 왼쪽 다리를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는 자세
- 반가부좌: 좌복 위에 앉아 왼쪽 다리를 오른쪽 다리위에 올려놓거나(항마좌),
오른쪽 다리를 왼쪽 다리 위에 올려놓는 자세(길상좌)
- 꿇어앉는 자세 : 독경이나 염불할 때,예경이나 축원시 취하는 자세.
오른발을 밑에 두고 그 위에 왼발을 X자로 올려놓는 것이 원칙.
3) 절의 의미와 공덕
- 절: 삼보에 대한 예경과 상대방을 존경하는 마음의 표현이며,
자신을 스스로 낮추는 하심(下心)의 수행 방법 중 하나.
(1)반배(=합장저두)
삼보에 예경을 올릴 때는 큰절을 하는 것이 원칙이나, 다음의 경우에는 반배를 한다.
* 절 입구에서 법당을 향하여 절할 때
* 길에서 스님이나 법우를 만났을 때
* 법당 밖에서 불탑에 절할 때
* 야외에서 법회를 할 때
* 동참 대중이 많아서 큰 절을 올리기 적합하지 않을 때
* 3배나 108배, 1080배, 3000배 등의 오체투지를 하기 전과 마친 뒤
* 부처님께 헌화를 하거나 향, 초 등의 공양물을 올리기 직전과 올린 뒤
* 법당에 들어가거나 나오기 전
* 기타 필요시
(2) 오체투지
삼보에 예경을 올릴 때는 오체투지의 큰절을 하는 것이 원칙.
오체는 몸의 다섯 부분인 두 팔꿈치와 두 무릎, 이마를 말한다.
접족례는 엎드려 절하면서 부처님의 발을 받드는 것으로, 마음을 다해
부처님께 존경을 표하는 행위
(3) 고두례(고두배, 유원반배)
절을 다 마치고 일어서기 전, 부처님의 한량없는 공덕을 생각하며 지극한 마음으로
한번 더 머리를 조아리는 것,
무수히 예경하고 싶은 마음의 아쉬움을 표하는 예법.
고두례는 3배, 108배, 1080배, 3000배 등 모든 절의 마지막에 올린다.
4) 사찰 예절
사찰은 부처님을 모시는 신성하고도 장엄한 곳이다.
속세의 번노를 씻고 마음을 깨끗이 하는 곳이며,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고
올바른 삶을 다짐하는 곳이다.
그리고 스님들이 상주하면서 공부하고 수행하는 도량이다.
사찰에 가면 일주문->금강문->천왕문->불이문(해탈문)을 지나는 것이 통례이다.
일주문에서 법당을 향해 합장 반배,
불교를 수호하는 사천왕을 모신 천왕문에서 합장 반배,
부도전을 지날 때 합장 반배,
스님이나 도반을 만나도 합장 반배,
불이문(해탈문)을 지날 때도합장 반배,
법당앞 마당 탑전에서 합장 반배,
탑을 돌때에는 탑을 두고 오른쪽으로 3번 돈다.
이를 우요삼잡(右繞三匝)이라고 한다.
법당을 오를 때는 좌측통행을 한다.
중앙계단과 좌우에 계단이 잇으면 좌우 계단을 이용한다.
5) 법당 예절
법당 출입은 스님의 출입문인 중앙 어간문을 피하고 양측문을 통해 출입한다.
법당 출입시 소리가 나지 않게 문고리를 약간 들어올려 여닫는다.
법당에 들어서면 부처님을 향해 합장 반배,
합장한 채 불보살단(상단)으로 다가가 향과 초를 피운다.
이미 피워 있으면 그냥 둔 채 자신의 공양물을 불전에 놓고 3배의 예를 올린다.
향을 올릴 때는 오른손으로 향을 잡고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쳐 촛불에 향을 붙인다.
향을 이마 높이 올려 경건한 마음으로 예를 표한 뒤 향로에 꽂는다.
합장한 채 반배하고 물러나 삼배의 예를 올린다.
신중단도 같은 방식으로 하면 된다.
법당을 나올 때는 촛불을 끄고 나온다.
촛불은 입으로 불어 끄지 않고 도구를 이용하여 끈다.
법당을 나올 때는 문앞에서 불보살님을 향해 합장반배를 하고 나온다.
<다음은 법당 안에서 눈에 거슬리는 행위는 하지 말아야 한다.>
어간에 앉는 행위.
아는 사람의 자리를 미리 잡아놓는 행위.
좌복을 풀썩거리며 깔거나 한손으로 던져 놓는 행위.
좌복을 밟고 다니는 행위.
사용한 좌복을 정리하지 않고 나가는 행위.
남이 올린 초나 향을 빼내고 자신이 준비한 것으로 바꾸는 행위.
스님법문시 절하는 행위 등
6) 법회와 예불에서의 예절
법회와 예불은 불교신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예불은 하루를 시작하고 마무리하면서 부처님께 예를 올리는 의식이고,
법회는 부처님의 말씀을 배우고 익히며 불자로서의 삶을 다짐하는 시간이다.
법회는 불자신행생활의 중심이다.
예불은 조석예불과 사시마지가 있다.
사찰에 머무를 시 조석예불에 필히 동참한다.
'법회 순서'는 삼귀의, 반야심경, 찬불가, 청법가, 입정, 법문, 정근 및 헌공, 발원문,
사홍서원, 공지사항, 산회가 등으로 진행되며,
스님 법문시 들어 올 경우 3배를 하지 않고 조용히 앉아 경청한다.
스님 법문 시 공양물을 올리지 않는다.
스님법문시 108배 등을 하지 않는다.
7) 스님에 대한 예절
스님은 삼보의 대상으로 항상 공경의 대상이다.
길에서 만나면 합장반배하고 실내에서는 삼배의 예를 갖춘다.
하지만, 스님의 좌선중이나 경행시, 공양시, 양치질이나 목욕시, 누워계실때는
절을 하지 않는 것이 예의이다.
큰스님을 뵙기를 원할 때 시자를 통해 허락을 밟는 것이 절차다.
8) 공양 예절
- 공양: 원래 스님들에게 수행에 필요하는 여러 가지 물건이나 음식을 드려 깨달음의 텃밭을
일구게 한다는 의미지만, 삼보께 올리는 정성스러운 모든 것은 다 공양의 의미로 확대
-사사공양(四事供養): 음식, 의복, 침구, 의약
- 육법공양: 향(해탈), 등(지혜), 꽃(만행), 차(감로), 과일(보리), 쌀(선열)
- 삼륜청정: 공양을 받는 이, 주고받는 물건, 주는 이
삼륜이 청정할 때 크나큰 공덕이 뒤따름. 삼륜공적
- 상공양(床供養) : 일반 가정에와 같이 밥상이나 식탁에서 공양하는 것으로
공양하는 사람 수가 적을 때하는 공양법.
-발우공양(鉢盂供養): 불교 전통식 공양법으로 많은 대중이 같이 공양하거나
수련회 및 수행시 한다.
대중이 함께 모여 정진하는 도량에서는 '발우공양' 하는데,
여러 사람이 함께한다고 해서 이를 '대중공양(大衆供養)' 이라고도 한다.
- 발우(鉢盂): 스님들의 밥그릇.
발우는 '수행자에게 합당한 크기의 그릇'이라는 뜻으로 ‘응량기’라고 함.
* 발우공양의 유래: 부처님께서 당시 인도의 수행풍습대로 매일 사시(巳時 오전9~11시)에
한 끼 공양을 하셨는데, 커다란 그릇 하나에 시주음식을 담아 온데서 비롯됨.
- 빈그릇운동: 불교계에서 시작해 사회 전체로 퍼져가고 있는 환경운동인 ‘빈그릇 운동’도
'발우공양'정신에서 비롯됨.
9) 재가불자끼리의 예절
재가불자끼리는 ~~거사님, ~~보살님, ~~법우님 등으로 부르며,
법명을 붙여 부르는 것이 예의다.
길이나 절에서는 서로 합장반배로 인사를 나누며, 법회시는 목례를 나눈다.
경조사시 내 일처럼 적극 도운다.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입문 (3) (0) | 2014.09.26 |
---|---|
불교입문 (2) (0) | 2014.09.25 |
경허스님 청심(淸心)법문 (0) | 2014.09.19 |
성철스님의 화두참선법 (0) | 2014.09.11 |
발심수행장 (0) | 201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