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불자의 신행
1. 수행과 기도
1) 수행
신행-믿음과 수행을 아우러는 말. 불법승 삼보에 대한 믿음과 수행을 통한 깨달음.
수행-자신을 닦는 것, 곧 마음을 닦는 것,
마음을 닦는 이유-본래 청정한 마음이 탐진치 삼독에 오염되었기에 이를 제거하고
본래 부처의 모습을 찾기 위해
기도의 방법-염불.주력.간경.절.참회.사경.사불 등
수행의 방법-염불.주력.간경.절.참회.사경.사불.조사선.간화선.묵조선.위빠사나.
대승불교의 여러 가지 관법 수행.염불선 등
2) 기도
기도-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거나 부족한 점을 얻기 위해 신이나 그 밖의
신비한 힘에 의지하여 간절하게 비는 것.
가피-부처님의 중생구제에 대한 원력과 연민이 작용하여 부처님의 은헤를 입는 것
권청-기도를 권청(勸請)이라 하여 모든 중생들의 어리석은 마음을 떨쳐버리고
하루 속히 지혜의 눈이 열리도록 부처님께 청하는 의식.
여기에는 바른 깨달음을 성취하여 모든 이들에게 기쁜 마음으로 회향하겠다는
서원이 내포됨.
3)기도와 수행의 마음가짐과 절차
기도수행의 마음가짐-부처님 법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확고한 믿음,
이웃에 자비로운 마음
기도수행의 자세-결가부좌나 반가부좌, 편안한 옷차림
기도수행의 절차-정견 확보, 믿음(귀의), 참회, 발원, 각자 택한 수행법, 회향
4) 참회
참회-과거의 잘못을 뉘우치고, 다시는 그런 과오을 범하지 않겠다는 굳은 맹세
참된 참회-내 성품속의 죄의 흔적과 자취를 없애는 것
죄의 자취-탐진치 삼독으로 맺은 나쁜 인연
참회방법-108참회, 108감사
5)발원
발원(發願)-부처나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고자 다짐하는 맹세.
또는 부처나 보살에게 소원을 비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곧 중생을 제도하려는 부처나 보살에게 소원이 이루어 지도록 기원하는 것.
<욕심과 발원의 차이>
욕심-개인적 이기적 바람, 본능적, 의도된 의지, 결과 중시
발원-공통적 바람, 능동적 수행 동반, 순수 의지, 과정 중시
발원-참다운 자기 전환의 시작, 업생이 아닌 창조적 원생으로 나아가는 첫 단추.
원생-스스로 삶을 갈무리해 나가는 창조적인 삶
업생-그저 과거 지은 업에 이끌려 살다 가는 삶
발원-욕망에 물들어 있는 에너지를 생명창조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 부정에서 긍정으로,
나에서 전체로, 고통에서 기쁨으로, 대립에서 평화의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
발원 가운데 가장 보편적인 것이사홍서원(四弘誓願)이다.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衆生無邊誓願度중생무변서원도)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煩惱無盡誓願斷번뇌무진서원단)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法門無量誓願學법문무량서원학)
불도를 다 이루오리다. (佛道無上誓願成불도무상서원성)
총원(總願)-사홍서원을 모든 보살이 지녀야 할, 모든 인류가 지녀할
보편적인 원이라 해서 총원이라고도 함.
별원(別願)-각각의 보살들이 갖는 개별적인 원. 보현보살 십대원, 문수.지장보살 원 등
2. 기도와 수행의 종류
1) 절
절-몸을 굽혀 상대에 대한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예법으로 하심(下心)의 표현
오체투지(五體投地)-두 무릎과 두 팔꿈치와 이마의 다섯부분을 땅에 붙이고
양손으로는 상대방을 받든다는 의미를 지닌 예법.
2)주력
주력(呪力)-불보살님의 명호나 진언(眞言)을 일념으로 염송하는 수행.
주력-'진실한 말의 힘'이란 뜻으로 진언(眞言)을 외우는 수행.
주력의 종류-천수대비주, 능엄주, 육자대명왕진언, 광명진언 등
3) 간경
간경(看經)-정기법회나 기도, 정진법회 시 경전을 소리내어 읽거나 눈으로 보는 것을 말함.
간경-독경, 전경, 풍경의 명칭으로 불린다.
독경은 경전을 소리내 읽는 것,
전경은 경전을 마음속에 굴려 경전의 말씀을 내마음에 새기는 것,
풍경은 안보고 외거나 노래하는 것.
피경조심(披經照心)-'경전을 펴서 마음을 본다'.
경전을 읽는 순간은 나와 부처님이 하나되는 시간,
모든 사람과 동시에 전체로 함께하는 시간이라는 열린 마음을
지닐 때 경전의 뜻이 마음속에 드러나 마음을 밝힌다.
이것을 '경전을 펴서 마음을 본다'하여 '피경조심'이라 함.
4) 염불
염불-부처님을 마음속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떠올리는 것. 나무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나무석가모니불 등을 부르며 자신의 마음을 부처님 마음과 합치시키는 일.
염불의 종류: 칭명염불, 관상염불, 실상염불
칭명염불(稱名念佛)-입으로 불보살의 명호를 부르며 염하는 것
관상염불(觀相念佛)-불보살의 특징이나 모습을 보면서 염하는 것
실상염불(實相念佛)-부처님의 본래 마음이 공의 이치를 염하는 것
칭명염불을 하면서 관상염불이나 실상염불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
염불삼매-삼매에 들어 염불하는 것
정근(精勤)-염불삼매에 들 정도로 지속적으로 정신하는 것,
선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고 부지런히 쉬지 않고 수행하는 것,
한 마음 한 뜻으로 불보살의 지혜와 공덕을 찬탄하면서 그 명호를 부르며 정진하는 것.
3. 선
1) 선의 정의와 종류
선-한가지 대상에 집중해 들어가 삼매의 상태에 이르러 마음의 깨끗한 모습을 보는 것
참선-선에 참입하다. 선에 깊이 들어간다라는 의미, 선, 참선, 좌선을 구분하지 않고 쓴다.
사유수(思惟修)-사유하면서 닦는다. 마음집중을 하며 닦는다는 의미.
삼매-외부의 어떠한 소리나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고 나와 대상이 온전히 하나가 된 상태
삼매(samadhi)를 '정(定)'이라 함.
선의 종류-조사선, 간화선, 묵조선, 위빠사나, 대승불교의 관법수행 등
간화선-대한불교조계종의 대표적인 수행법
조계종은 염불.주력.간경.위빠사나.대승관법 등을 간화선에 들어가기 전의 기초수행으로 봄.
2) 위빠사나
위빠사나-정신집중법, 마음집중법, '꿰뚫어 봄', '통찰'을 의미함.
한자로 '관(觀)' 또는 '관법'이라 번역함.
남방 상좌부 불교의 수행법으로 동남아시아 및 구미에 널리 퍼져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요즈음 유행하는 수행법
사마타-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수행으로, 대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위빠사나 수행의 준비단계이자 전제조건.
삼매에 들어 온갖 번뇌와 망상을 그치게 된다.
그래서 이를 '지(止)'라고 번역한다.
선정(禪定)-마음이 어느 한 대상에 집중되어 선에 들어 삼매 상태에 이르는 것
사마타와 위빠사나 즉. 지(止)와 관(觀), 선정과 지혜는 떨어질 수 없다.
그래서, '지관쌍운(止觀雙運), 성적등지(惺寂等持), 정혜균등(定慧均等)'라 한다.
마음이 지상태에 이르면 오락가락 흔들리는 마음의 동요가 사라지고 고요해진다.
그상태에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관하는 지혜가 나온다.
오정심관(五停心觀)-다섯가지 중생의 마음을 정지시키는 관법.
사마티와 위빠사나에 의거한 대표적인 수행법.
부정관, 자비관, 인연관, 불상관, 수식관을 말함.
부정관-우리 몸의 부정한 모습을 보는 것
자비관-사람들이 성내고 다투는 마음을 그쳐 자비로운 마음을 내게 하는 것
인연관-인연따라 생기고 사라지는 이치를 깊이 관찰하면 모든 것을 고정된 관점에서
보고 집착하는 어리석음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지혜가 열린다는 것.
불상관-부처님의 자비로운 모습을 관하여 중생의 업장을 다스리는 관법
수식관-들어가고 나가는 숨을 관찰한다고 해서 '입출식념(入出息念)'이라고 부른다.
주로 마음이 산란한 사람들이 닥는 것으로 자신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3) 조사선
본래 나. 본래 마음.본래 면목. 참나. 자성청정심-세파에 시달려가는 인생이지만
본래 성품은 조금도 이지러짐이 없는 청정무구한 마음인 것이다.
조사-석가모니부처님이래로 불심을 체득하여 사람들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수행력과 안목을 갖춘 선지식.
언하변오(言下便悟)-말을 듣자마자 어떤 행위를 보자마자 그 자리에서 즉각 깨닫는 것.
돈오(頓悟)-단박에 깨닫는 것
조사선-중국의 조사선은 달마조사로 시작되며, 단박에 깨달음을 구하는
언하변오를 통한 돈오를 말한다.
간화선은 조사선을 포괄하는 말이다.
4. 간화선
1) 간화선과 화두 참구
간화선(看話禪)-화두를 간(봄)하는 선.
간화선은 조사들의 선문답을 화두(話頭)로 정형화 한 것이다.
2) 화두참구의 중요한 요소
화두참구의 3요소: 대신심, 대분심, 대의심
대신심-내가 본래 부처라는 확고한 믿음
대분심-내가 본래 부처인데 중생놀음하고 있는 나 자신에 대한 분한 마음
대의심-화두를 철두철미하게 의심하는 것
* 화두참구에서 중요한 것-발심(發心), 정견 확립(무아, 공, 연기에 대한 바른 이해)
3) 화두 참구와 일상생활
간화선은 생활선이다.
선의자세-결가부좌 또는 반가부좌
방선(放禪) 또는 경행(徑行)-오랫동안의 참선에 대한 몸의 무리를 피하기 위해
법당이나 방안에서 잠시 거닐며 몸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
5. 가정에서의 신행 활동
1) 거룩한 생명
부모와 만나는 인연이 어렵고, 인간으로 태어나 불법을 만나기 어렵다고 한다.
이를 '맹구우목(盲龜遇木: 눈 먼 거북이가 무판자를 만난다는 고사.
눈 먼 거북이 백년에 한번 머리를 물 위로 내놓는데 구멍뚫린 나무판자를 만나
그곳에 목을 놓고 쉰다.
그러나 판자를 못만나면 그냥 물속으로 들어간다.
그만큼 만나기 어렵다는 말)'에 비유하기도 한다.
2) 불교 혼례와 인생길
헌화의식-선혜선인과 구리선녀에서 유례,
연등불에게 연꽃 다섯송이(남)와 두송이(여)를 바쳐 서원을 빌었다는 전생담에서 유래.
그래서 불교에서는 혼례를 올릴 때 꽃을 바치는 헌화의식과 혼인을 고하는 고불식을 반드시 한다.
3) 역경을 이겨내는 불자의 자세
역경을 이겨내는 불자의 마음가짐으로 <보왕삼매론>을 통해 극복.
<보왕삼매론>
1.몸에 병없기를 바라지 말라.
몸에 병이 없으면 탐욕이 생기기 쉽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병고로써 양약으로 삼으라' 하셨느니라.
2.세상살이에 곤란 없기를 바라지 말라.
세상살이에 곤란이 없으면 업신여기는 마음과 사치한 마음이 생기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근심과 곤란으로써 세상을 살아가라' 하셨느니라.
3.공부하는 데 마음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마음에 장애가 없으면 배우는 것이 넘치게 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장애 속에서 해탈을 얻으라' 하셨느니라.
4.수행하는데 마 없기를 바라지 말라.
수행하는데 마가 없으면 서원이 굳건해지지 못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모든 마군을 수행의벗으로 삼으라' 하셨느니라.
5.일을 꾀하되 쉽게 되기를 바라지 말라.
일이 쉽게 되면 뜻을 경솔해지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여러 겁을 겪어서 일을 성취하라' 하셨느니라.
6.친구를 사귀되 내가 이롭기를 바라지 말라.
내가 이롭고자 하면 의리를 상하게 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순결로써 사귐을 길게 하라' 하셨느니라.
7.남이 내 뜻로 순종해주기를 바라지 말라.
남이 내 뜻대로 순종해주면 마음이 스스로 교만해지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내 뜻에 맞지 않는 사람들로써 원림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8.공덕을 베풀려면 과보를 바라지 말라.
과보를 바라면 도모하는 뜻을 가지게 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덕 베푸는 것을 헌신처럼 버리라' 하셨느니라.
9.이익을 분에 넘치게 바라지 말라.
이익이 분에 넘치면 어리석은 마음이 생겨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적은 이익으로써 부자가 되라' 하셨느니라.
10.억울함을 당해서 밝히려고 하지 말라.
억울함을 밝히면 원망하는 마음을 돕게 되나니, 그래서 성현이 말씀하시되
'억울함을 당하는 것으로써 수행하는 문을 삼으라' 하셨느니라.
6. 사찰에서의 신행 활동
1) 법회
법회-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한 뜻깊은 만남의 장으로 부처님이 가르치신
진리를 배우고 전파하는 자리.
포살-부처님 당시 보름마다 자신의 허물을 대중앞에서 고백하는 의식.
오늘날 정기법회의 시초
십재일-음력 1일 정광, 18일 약사, 14일 현겁, 15일 미타, 18일 지장,
23일 대세지, 28일 관음, 29일 약왕, 30일 석가재일
일반신도 대상 법회-초하루, 보름, 지장재일, 관음재일, 약사재일, 미타재일
기타 법회-어린이법회, 청소년법회, 대학생법회, 청년법회, 신도법회, 토.일요일 정기법회
2) 불공과 공양
불공-부처님께 공양하는것
공양-처음 스님들께 수행에 필요한 의식주를 공급하던 것이 점차
삼보님께 올리는 정성어린 모든 것을 뜻함.
공양중 '법공양'이 으뜸.
3) 불교의 중요한 명절 의례(4대 명절, 5대 명절)
(1) 부처님오신날(음력 4월 8일) - 관불의식, 연등회, 빈자일등, 삼국유사-경주에서 탑돌이
(2) 출가하신 날- 출가재일(음력 2월 8일) 불자들은 '상구보리 하화중생' 서원세우는 날
(3)깨달음을 이루신 날- 성도재일(음력 12월 8일) '불국정토' 서원세우는 날
(4) 열반에 드신 날- 열반재일(음력 2월 15일) 반열반(般涅槃: 모든 번뇌를 확실히 끊음)
(5) 우란분절- 백중(음력 7월 15일), 하안거 해제일, 지옥 영가 구하는 법회
(6) 그 밖의 명절: 통알(通謁) 또는 세알(歲謁)-신년하례법회. 입춘.삼월삼짇날.단오.칠석.동지
4) 방생법회- 죽게 된 모든 생명을 살리는 법회
5) 천도재(遷度齋)
재(齋)-깨끗한 마음으로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며 공덕을 닦는 의식, 법회 등 모든 의식
천도재-망자의 영혼을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한 의식
(1)장례의식 및 49재
사대(四大)-지.수.화.풍(地.水.火.風), 우리 몸을 구성하는 네가지 원소
윤회(輪廻)-깨닫지 못한 중생의 마음은 여전히 미혹한 상태에 집착하여 어리석게도 세상을
헤매다 미혹한 몸을 육도(천.인간.수라.축생.아귀.지옥)에서 연속적으로 받는 것.
중유(中有)-다음 생을 받지 못해 구천을 떠도는 영혼. 중음(中陰)이라고도 한다.
시다림(尸茶林)-죽은 이를 위해 장례 전에 행하는 의식. 시타림: 시체를 버리는 추운 숲
다비식-불교의 전통적인 장례법인 '화장(火葬)'을 말한다.
49재-망자가 죽은 날로부터 7일마다 한번씩 7번의 재를 올리는 것
(2)수륙재(水陸齋)
수륙재-물이나 육지에 있는 외로운 귀신이나 배고차 굶주리는 아귀에게 공양하는 법회
(3)영산재(靈山齋)
영산재-석가모니부처님이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실 때의 모습을 이 세상에 재현한 의식
7. 조계종도로서의 신행 생활
1) 대한불교조계종
종조-도의국사
종지-자각각타 각행원만한근본교리를 봉체하고 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을종지로 한다.
(自覺覺他 覺行圓滿) (直旨人心 見性成佛 傳法度生)
소의경전-금강경, 전등법어<전등법어-육조단경, 마조록,임제록, 벽암록 등>
수행- 간화선 <기타 경전연구, 염불, 지주(持呪) 등 제수행법도 포섭함.>
도의국사-조계종 종조, 개원사 서당지장 전법, 백장선사, 염거선사에게 전법, 가지산문
보조 지눌국사-조계종 중천조, 정혜결사, 간화선 최초 소개
태고 보우국사-조계종 중흥조, 석옥 청공선사에게서 전법, 구산선문 통합 조계종 중흥
1938년-태고사 창건
1940년-조선불교조계종
1954년-불교정화운동
1962년-대한불교조계종
* 조계종단의 3대 지표: 포교, 역경, 도제양성(* 인재양성이란 말.)
2) 조계종도로서 신도의 신행활동
수계, 법명, 신도증,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