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한시.법어

敬次東岳李先生安訥泛江集赤壁賦字韻 (경차동악이선생안눌범강집적벽부우운)

敬次東岳李先生安訥泛江集赤壁賦字韻

(경차동악이선생안눌범강집적벽부우운)

 

 

壬戌之秋秋七月   (임술지추추칠월)   

蘇仙赤壁泛舟遊   (소선적벽범주유)   

如今擧酒臨江口   (여금거주임강구)   

此樂人間知也不   (차락인간지야부)

 

임술년 가을 초가을 7

소동파의 신선 적벽강에 배 띄워 놀때

지금에 잔 잡아 강어구 다다르니

이 즐거움 세상사람 아는가 모르는가

 

 

윗 시는 취미(翠微·1590~1668)대사가

동악 이안눌(東岳·李安訥·1571~ 1637)과 함께

뱃놀이를 하면서 화답한 시다.

 

주지하다시피 조선조의 사회는 극심한 배불(排佛)의 시대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이념이 계속된 조선조의 5백여년을 지난

오늘의 불교가 어떻게 이렇듯 폭넓은 민중의 종교로

남아 있을 수 있었을까 하는 회의 아닌 경이로움으로 회고될 때도 있다.

이러한 회의나 경의에 대한 대답은 당시 큰스님들이 큰 선비들과의

지기적 교분의 일면이 크게 작용했다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취미대사는 당시의 이름 있는 선비 곧 고급관리와의

교분이 남달랐으니 그 이름을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

장유(張維)와 같은 이는 재상이면서도 대사를 청하여

결사(結社) 강론하려 하였지만

대사는 굳이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다.

재상의 힘으로 선사를 여는 것이 좋기는 하지만

산문을 지켜 도덕을 세우는 것이 낫다 하여 그랬으니

이에 장유는 대사를 더 더욱 존경하게 되었다.

 

대사의 이러한 사귐의 자세가 당시의 속사들과 격의 없는

사귐을 유지하여 불도의 진작에 이 받게 되었으니

위의 시에서 보이는 시의도 두 사람의

막힘 없는 인간미를 엿볼 수가 있다.

소동파의 적벽강 놀이는 그 놀이 자체의 풍요로움도

유명하겠지만 거기에서 쓴 적벽부가 만고의 절창이다.

이 놀이를 비긴 뱃놀이의 시로 승속을 뛰어 넘었다.

 

 

一也詩成安也和   (일야시성안야화)

上人江海共淸遊   (상인강해공청유)

擧枚爲問山間月   (거매위문산간월)

赤壁舟中有此不   (적벽주중유차부)

 

太一은 시 쓰고 安訥은 화답하니

스님과 함께 하는 강가의 맑은 놀이

잔 들어 산간의 달에 묻기를

적벽강의 뱃놀이도 이 즐거움 있었나

 

 

太一은 취미대사의 자이다.

두 사람이 시로 벗이 되었음을 여실하게 보여 주면서

소동파의 놀이가 이만 했겠느냐의 질문을 던진다.

취미대사의 시는 여기에 대한 답시였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椀茶歌 (칠완다가)  (0) 2015.05.09
영정중월 (詠井中月)   (0) 2015.04.22
법정스님의 법어모음  (0) 2015.04.13
부운(浮雲)  (0) 2015.04.07
石泉煎茶(돌 샘물로 차 끊이다) -초의선사(艸衣禪師)-  (0) 201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