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운(浮雲) 하늘에 떠 다니는 구름
空手來空手去是人生 (공수래공수거시인생)
生從何處來死向何處去 (생종하처래사향하처거)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也去來亦如然 (생야거래역여연)
獨有一物常獨露 (독유일물상독로)
澹然不隨於生死 (담연불수어생사)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것이 인생인 것을
태어남은 어디서 오며 죽음은 어디로 가는가
태어남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지는 것인데
뜬구름 자체는 본래 실체가 없나니
태어남과 죽음도 모두 이와 같을진데
한 물건이 홀로 있어 항상 홀로 이슬처럼 드러나
담연히 생사를 따르지 않는구나.
이 시는 고려 공민왕 때 왕사(王師)를 지냈던
나옹선사(懶翁禪師. 법명惠勤. 시호禪覺. 1320∼1376)의 누님이
동생인 나옹선사에게 염불을 배우고 나서 스스로 읊었다는 선시로서,
태어남과 죽음을 한 조각 뜬구름(一片浮雲)의 기멸(起滅)에 비유했다.
참으로 명시다.
태어나는 것을 한탄하는 것도 아니고,
죽는 것을 슬퍼하지도 않고,
오고 가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또한 그 가운데 생사 없는 도리를 보았다.
그렇다면 우리가 이 시를 보고 잘 되었다, 못 되었다 평가할 것이 아니라,
이 속에 들어 있는 문제 하나를 풀지 않으면 안 된다.
"한 물건이 홀로 있어 항상 홀로 이슬처럼 드러나 담연히 생사를 따르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생사를 따르지 않는 담연한 한 물건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아는 자는 뜬구름을 원망하지 않으리라.
만나고 헤어짐을 기약하지도 않으리라.
기약이 없는 세계에 나아가려면 바로 그것을 보라.
그것을 보는 자가 곧 부처님이니라.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敬次東岳李先生安訥泛江集赤壁賦字韻 (경차동악이선생안눌범강집적벽부우운) (0) | 2015.04.16 |
---|---|
법정스님의 법어모음 (0) | 2015.04.13 |
石泉煎茶(돌 샘물로 차 끊이다) -초의선사(艸衣禪師)- (0) | 2015.03.26 |
달마조사송 (達摩祖師頌) (0) | 2015.03.18 |
서산대사 임종게 -西山大師 臨終偈- (0) | 201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