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절초, 쑥부쟁이, 개미취를 구분하는 방법-
가을을 알리는 세 꽃의 종류는 자세히 관찰하지 않으면 혼동을 많이 한다.
꽃 모양은 비슷해도 잎 모양은 전혀 다르다.
꽃은 색깔을 보고 구별하고 이파리와 동시에 비교해 보면 그 구별이 가능하다.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가 국화과에 속하며 구절초와 쑥부쟁이, 개미취를 정확하게 구별할 줄 알면
야생화 공부가 끝났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 구별이 쉽지가 않다.
구절초는 꽃이 희거나 옅은 분홍색을 띄지만 쑥부쟁이는 대부분 보라색이다.
길가 아무데나 피어있는 꽃은 대부분의 쑥부쟁이고,
구절초는 사람들 눈에 쉽게 띄는 곳에 피는 경우가 드물다.
구절초는 꽃잎 끝이 동글동글하게 국화꽃잎과 닮았고,
쑥부쟁이는 구절초보다 꽃잎이 길고 날씬하며 꽃나무 전체가 좀 복잡하게 엉켜있다는 느낌이 든다.
두 꽃의 특징적인 차이점은 쑥부쟁이는 해국과 마찬가지로 향기가 별로 없으나 구절초는 국화향이 난다.
한편, 쑥부쟁이와 개미취는 피는 시기도 같고 꽃 모양도 비슷해 구분이 쉽지 않지만
이파리를 보면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는 것이 쑥부쟁이고,
개미취는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나 쑥부쟁이처럼 굵은 톱니 모양은 아니다.
또 개미취는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게 특징이다.
우리가 흔히 이 꽃들을 '들국화'라고 부르는데 식물도감에 '들국화'라는 꽃은 존재하지 않는다.
쑥부쟁이
꽃대 하나에 여러개의 꽃이 가지마다 피어나는데 보라빛의 색깔로 논두렁, 밭두렁 등의
사람과 가까운 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구절초
여름엔 5마디이고, 가을이 되면 모두 아홉마디가 된다고 하여 구절초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구절초는 꽃대 하나에 꽃 하나만 피고 꽃색이 흰색이며 쑥부쟁이에 비해 꽃잎이 굵다.
쑥부쟁이와 구절초가 섞여 자라는 모습
보라색(쑥부쟁이), 흰색(구절초)
구절초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번식하고, 모양이 산구절초와 비슷하며
뿌리에 달린 잎과 밑 부분의 잎은 1회깃꼴로 갈라진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밑 부분이 편평하거나 심장 모양이며 윗부분의 가장자리는 날개처럼 갈라진다.
꽃은 줄기 끝에 연한홍색, 또는 흰색으로 한 송이씩 핀다.
높이는 약50cm내외로 쑥부쟁이와 개미취에 비해 작다.
가는잎구절초, 넓은잎구절초, 산구절초 등 몇가지 종류가 있지만 구분이 쉽지않다.
가을철 산에 올라가면 양지쪽에 유난히 희게 피어 눈에 잘 띄고 고추잠자리가 보이기 시작하면
산 위에도 구절초가 피기 시작한다.
가는잎구절초는 1000m이상의 높은 산에 많이 피고, 넓은잎구절초는 얕은 곳에서도 종종 만날수가 있다.
꽃말은 순수이고, 다른 이름으로는 조선국, 들국화가 있다.
꽃은 연한 자주빛이며 어린순은 나룰로 먹을수 있다.
쑥부쟁이
먼저 쑥부쟁이와 개미취는 꽃 색이 거의 같아 구별이 어렵다.
만개한 상태로 보아 꽃잎수가 많고, 측면에서 보아 꽃잎이 완전히 젖혀지도록 핀 것이 쑥부쟁이다.
쑥을 캐러 간 불쟁이(대장장이)의 딸이 죽은 자리에서 핀 꽃이라고 해서 쑥부쟁이라고
이름 붙혀 졌다는 슬픈 전설이 담긴 꽃이기도 하다.
구절초는 한 그루의 줄기위에 흰색 꽃이 많아야 서너개 피지만 쑥부쟁이는 한그루에 수십개의
연보라빛 꽃을 피우기 때문에 쑥부쟁이 군락지에 다다르면 역광에 반사되는 그 모습은 정말 장관이다.
상대적으로 너무 많아서 귀하게 여겨지지는 않지만 뭐니 해도 가을에는 쑥부쟁이가
단연 보기도 좋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준다.
높이는 약30cm에서 1m내외이며, 가지가 아주 많이 갈라지고 꽃도 가지마다 가득 피어나서
그 무게 때문에 땅에 비스듬이 누워 자라는 것이 대부분이며 종류는 대략15가지가 자생하는데
전문가가 아니면 구별이 쉽지 않다.
6월부터 10월까지 꽃이 피는데 번식력이 대단히 강해서 우리나라 산야 어기서나 쉽게 볼 수 있다.
개쑥부쟁이
구계쑥부장이, 큰털쑥부장이라고 하며 쑥부쟁이와 비슷하다.
다만 쑥부쟁이보다 줄기가 약간 굵고 잎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들쭉날쭉하다.
줄기에 세로로 긴 줄이 나 있으며 전체적으로 짦은 털이 나 있다.
쑥부쟁이는 키가 1m정도로 크고 곧게 자라는데 비해 개쑥부쟁이는 키가 30cm~50cm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풀 전체가 꽃에 싸여있는 것 같이 보인다.
개미취
쑥부쟁이에 비해 꽃잎수가 적고 만개한 꽃을 측면에서 보아 뒤쪽으로 젖혀지지 않고 앞쪽으로 몰린듯이 보인다.
높이는 약1m~1.5m내외이며 줄기에 달린 잎은 좁고 어긋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진다.
벌개미취
벌개미취 학명중 속명인 Aster은 희랍어 “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별처럼 생긴 꽃 모양에서 비롯되었고
종명의 koraiensis는 자랑스럽게도 “한국산”이라는 뜻이다.
벌개미취는 다른 나라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만 있는 한국 특산이며 습지나 계곡주변에서 물이 많은 곳에 자생하고 있다.
꽃은 연한 자주 빛이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을 수 있다.
(펌)
'꽃과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9.20 경북 예안면 신남리 높은대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9.22 |
---|---|
2015.9.12 천황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9.15 |
2015.9.6 엄광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9.08 |
2015.8.30 운문산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9.01 |
2015.8.22 능동산~쇠점골에서 만난 야생화 (0) | 201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