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산으로 가나 -백곡 처능(白谷 處能)선사-
運水搬柴久(운수반시구) 물 긷고 나무하기 오래였으니
勞筋苦骨頻(노근고골빈) 괴로운 근육 뼈마다 쑤시겠지
砧傭經一臘(침용경일랍) 방아찧기로 지낸 한 해이고
柴役過三春(시역과삼춘) 마굿간 청소도 세 해 봄이었지
此夕還辭我(차석환사아) 오늘 밤 나와 이별하고서
何山欲訪人(하산욕방인) 어느 산에 누구를 찾아 가나
途中善爲去(도중선위거) 나그네길 조심조심 가거라
臨別倍傷心(임별배상심) 이별에 다다라 갑절되는 상심
백곡선사께서 해심(海心)이라는 사미승에게 준 시이다.
이 시는 이별을 둔 사제간의 정을 담담하게 표현한
깔끔한 시 인데 함께 있었던 몇 해의 일을 열거하는
수법이지만 그 자체로 두 사람의 정이 흠뻑 배어 있다.
물 긷고 나무하는 것이 일상의 선이라 하듯이
이 시는 이러한 면에서 일상의 선을 노래했다 할 것이다.
선사를 모시면서 사미승으로서의 궂은 일을
다해왔던 처지였던 것 같다.
물 길어 오고 나무해 나르기가 이상의 삶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자신의 직책으로 맡겨지면 그 또한 고역이다.
그 일을 해 내느라 너의 근육이나 뼈마디가 얼마나
고단했겠느냐고 안타까이 여기는 스승의 자상함이다.
어찌 그것뿐이랴.
먹거리를 장만하느라 방아찧기에 어깨는 얼마나 아팠겠느냐.
그 고된 일도 한 해를 견뎌내었구나.
그뿐이랴.
마굿간의 궂은 일도 너의 몫이지 않았느냐,
이 모든 괴로운 일을 용하게도 참아냈거늘
이제 왜 어디로 가려하느냐.
떠나보내려는 이 순간 그저 마음이 상할 뿐이다.
끝 구에서 배나 상하는 마음이라 표현해 전편에 배어 있는
애정을 한 말로 다하고 있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至後入城宿版泉(지후입성숙판천) (0) | 2016.01.29 |
---|---|
다리는 흘러도 물은 흐르지 않는다. (0) | 2016.01.16 |
맑은 차(茶) 한 잔 (0) | 2015.11.20 |
가을소리 마른 연잎 지고 (0) | 2015.11.19 |
푸른잎 붉게 물드네 (0) | 201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