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사어록

혜개의 자서(慧開 自序)

혜개의 자서(慧開 自序)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마음을 종()으로 삼고

무문을 법문으로 삼는다고 하셨는데 이미 문이 없다면 어떻게 뚫고 들어간단 말인가?

'문으로 든 이는 이 집안의 보배가 아니며,

인연으로 얻은 것은 시작과 끝이 있어 이루어지면

반드시 무너지기 마련이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지 못했는가?


이렇게 말하는 것도 바람이 없는데 물결을 일으키는 것이요,

멀쩡한 피부에 긁어 부스럼을 만드는 것이다.

하물며 언구(言句)에서 이해하여 알기를 바란다면

막대기를 휘둘러 달을 치려는 것과 같고

가려운 발가락을 신을 신은 체 긁는 것과 같으니 무슨 교섭이 있겠는가?


혜개는 소정 무자년 여름 동가 용상(東嘉 龍翔)에서 대중의 수좌로 있으며

납자들의 요청으로 고인들의 공안을 두드리는 와자(瓦子)의 역할을 맡아서

근기에 따라 학인들을 인도하였다.

이를 간추려 기록하니 어느새 한 권의 책이 되었다.


처음에는 두서없이 하였는데, 이를 정리하니 48칙이 되었고,

이것을 통칭하여 '무문관'이라고 한다.

위태로움을 무릅쓰고 단도직입하면 팔이 8개나 있는 나타도 어쩌하지 못하고,

서천의 28조사와 동토의 6조사도 다만 위풍에 눌려 목숨을 구걸 할 것이다.

그러나, 주저하면 창 밖에서 달리는 말 같이 눈 깜빡 할 사이에 지나가 버릴 것이다.

 

()

대도무문(大道無門) 대도는 문이 없다.

천착유로(千差有路) 천 갈래의 길이 있으나

투득차관(透得此關) 이 관문을 뛰어 넘으면

건곤독보(乾坤獨步) 천하에 홀로 걸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