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도 잠이 든 깊은 밤 삼경에~
寂寞鐘梵夜三更(적막종범야삼경) 범종도 잠이 든 깊은 밤 삼경에
落葉隨風作雨聲(낙엽수풍작우성) 낙엽이 바람 따라 빗소리를 내어서
驚起拓窓淸不寐(경기척창청불매) 놀라 일어나 창을 여니 잠은 달아나고
滿空秋月正分明(만공추월정분명) 하늘 가득 가을 달이 눈이 시리도록 밝구나.
선심(禪心)에 잠겨 가을밤의 풍경을 그려 놓았다.
산당정야(山堂靜夜)의 깊은 밤에 바람에 날리는
낙엽 소리가 비 오는 소리처럼 들린다.
그 소리 들으니 정신이 더욱 맑아져 금새 잠이 달아나 버린다.
창문을 밀치고 밖을 내다보았더니
온 산을 비추고 있는 하늘의 달이 눈이 시리도록 밝다.
가을밤의 이 전경이 내 마음속에 들어 있을 때
달과 산과 내가 하나가 아니겠는가?
천지만물이 같은 뿌리라 했다.
그렇다면 천(天)․ 지(地)․ 인(人) 삼재(三才)가
또 다른 나를 구성하는 삼요소가 될 것이다.
하늘과 땅이 내 몸이고 나는 법성이 되어
시공 위에 앉아 있는 철없는 사람이 되고 말 것이다.
이 시는 취미수초(翠微守初·1590~1668)선사의 시이다.
조선조 중기의 스님으로 사육신 중의 한 사람이었던 성삼문의 후손으로
출가한 후 부휴선수의 추천으로 벽암각성의 문하에 들어가 법을 잇고 폈다.
당시의 여러 고승들을 참방하고 유학자들과 폭 넓은 교류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문에 능하여 문집 <취미당집>과 함께 <취미대사시집>이 전해진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冶父頌(야부송) (0) | 2018.01.04 |
---|---|
산비탈 한 마지기 노는 밭이여~ (0) | 2017.11.30 |
書王定國所藏王晉卿畵著色山(서왕정국소장왕진경화저색산) (0) | 2017.08.30 |
구름처럼 떠돌며~ (0) | 2017.08.17 |
마음 씻는 소리/ 무용대사 (0) | 201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