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비탈 한 마지기 노는 밭이여~
山前一片閑田地(산전일편한전지) 산비탈 한 마지기 노는 밭이여
叉手정녕問祖翁(차수정녕문조옹) 손 모아 어르신께 여쭈나이다.
幾度賣來還自買(기도매래환자매) 몇 번이나 팔았다가 다시 샀지요?
爲隣松竹引淸風(위린송죽인청풍) 솔바람 댓잎소리 못내 그리웠습니다.
산비탈에 묵혀진 밭 한 마지기가 있다.
대대로 이를 가꾸며 살아왔던 그리운 시절이 생각나서
먼 조상 할아버지에게 넌지시 여쭈고 싶다.
이 밭의 임자가 누구누구였는지.
밭 근처에는 소나무 대밭이 있어 언제나 맑은 바람을 불러오고 있었다.
비록 가난했지만 자연 그대로 살던 시절이라
고향의 소식이 묻혀 있어 언제나 향수를 느끼게 한다.
이 시는 중국 송나라 때 오조법연(五祖法演)선사가 지었다.
백운수단(白雲守端)의 법을 이었고 원오(圓悟克勤)의 스승이다.
만년에 오조산에서 선풍을 드날려 일세를 풍미케 하였다.
오조법연의 오도송으로 알려질 만큼 유명한 시이다.
산비탈 노는 밭이란 우리의 본성 곧 마음자리를 상징한 것이다.
아무런 가식이 없고 소박한, 부도 없고 명예도 없던
내 자성의 참모습을 우리는 잃어버렸다.
공연히 환영에 도취되어 미로를 헤매다가 고향 가는 길을 잃어버린 것이다.
조옹(할아버지)은 자기 진심을 의인화 시킨 말로 볼 수 있다.
고향 가는 길을 찾은 후 헤매던 시절을 회상하며
본성을 등졌던 것을 고향 밭을 팔았다고 비유하였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冶父頌(야부송) (0) | 2018.01.04 |
---|---|
범종도 잠이 든 깊은 밤 삼경에~ (0) | 2017.11.03 |
書王定國所藏王晉卿畵著色山(서왕정국소장왕진경화저색산) (0) | 2017.08.30 |
구름처럼 떠돌며~ (0) | 2017.08.17 |
마음 씻는 소리/ 무용대사 (0) | 2017.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