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소한 이름의 “거골괴사증” 이란 쉽게 말해서 뼈 조직이 죽는 현상을 말하는데
혈액순환의 장애로 나타난 골괴사로 인해 결국 관절이 파괴되는 질환이다.
거골 괴사증 은 우리가 흔히 복사뼈라고 부르는 부위에 발생하는 것으로
부상 부위가 시큰거리고 관절 주변에 극심한 통증을 느낀다.
보편적으로 발목을 삐는 것이 반복되면서 거골에 충격이 쌓여 많이 발생하지만 여러가지의
스포츠 활동을 하다가 다쳐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스포츠를 즐기지 않는 여성들도
거골 골괴사증이 발병한다.
과거에 습관적으로 발목을 삐었거나 맞지 않는 신발을 오래 신었을 경우인데,
특히 높은 하이힐로 체중의 2배 이상 하중을 받는 여성이 복사뼈 주변의 염증을 오랜기간
방치했을 경우 염증이 생겨 만성화되면 이 질병이 생길 수 있어 특히 유의해야 하며
따라서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의 거골 골괴사증은 MRI 검사시, 괴사된 부위의 음영 변화가 나타나는 정도이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괴사부위가 뼈와 분리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가 있다.
거골 골괴사증 치료법은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뉜다.
보존적 요법은 연골 손상 초기에 보조기나 깁스로 최대한 발목을 쉬게 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으로 치료되지 않으면 수술이 불가피하다.
이때 관절내시경으로 연골 손상 부위를 다듬어주는 변연절제술과 미세천공술이 있는데
이 중 축구선수 박지성이 한 수술로 유명한 미세천공술은 연골이 닳아 뼈까지 노출된 경우
뼈에 미세한 구멍을 만들어주어 피가 나게 함으로써 정상 연골과 비슷한 연골로 재생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리고 변연절제술은 관절내시경으로 관절 내부를 다듬어주고 청소해주는
수술로 약물이나 물리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에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무릎에서 뼈와 연골을 함께 채취하여 발목 관절 안에 이식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연골이식 방법인 자가 골연골 이식술과 무릎 등에서 본인의 연골을
소량 채취해 배양한 다음 이 연골을 발목 안의 연골 병변 부위에 이식하는
자가연골 배양이식술도 시도되고 있다.
사소한 발목 삠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다가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
발목 염좌가 발생했을 때 찜질을 하거나 파스를 붙였는데도 불구하고 통증이 심해지고
부기가 가라앉지 않는다면 전문병원을 찾아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발목강화 운동을 통해 발목 건강을 지키는 것이 거골 골괴사증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며 스포츠를 즐기기 전에 충분한 준비운동을 해야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발목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발목강화 운동
1.엄지발가락으로 알파벳 쓰기
의자에 앉아 발목을 움직이면서 엄지발가락을 ‘연필심’이라 생각하고 허공에 글자를 쓴다.
양쪽 번갈아 가며 하루 3회 정도.
발목 주위의 근육이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어 발목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2.모래 위에서 걷기 또는 뛰기
모래에서 걷고 뛰려면 바닥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강한 발목 근육이 필요하다.
가끔씩 한 발로 서거나 뛰기를 하면 보다 강한 발목 근육을 만들 수 있다.
3.힐 레이즈 운동
벽이나 책상 의자에 손을 대고 어깨 너비로 양 발을 벌려 선 후
뒤꿈치를 들고 내리는 동작을 10회 정도 반복하면 발목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된다.
4.발가락으로 잡지 책 넘기기
의자에 앉아 오른발은 발목을 이용 잡지책이나 전화번호부의 책장을 거꾸로 넘긴다.
왼쪽 발목을 단련할 때는 책장을 앞으로 넘긴다.
한 번에 50장 정도를 하면 좋다.
5.발목 와이퍼 운동법
의자에 앉아 두 발을 어깨 넓이만큼 벌린 후 발뒤꿈치를 바닥에 대고 발등과 발가락으로
큰 원을 그리듯 발목을 안팎으로 번갈아 가며 돌린다.
움직일 수 있는 모든 범위로 움직이다 보면 발목 주위의 근육을 이완, 강화시킬 수 있다. [출처] 만성적인 발목 삠, 거골(복사뼈) 골괴사증 주의|작성자 친절한 새움씨 [출처] 만성적인 발목 삠, 거골(복사뼈) 골괴사증 주의|작성자 친절한 새움씨 [출처] 만성적인 발목 삠, 거골(복사뼈) 골괴사증 주의|작성자 친절한 새움씨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에서 힘들지 않게 걷는 10가지 비법 (0) | 2014.03.06 |
---|---|
밀양 위양지 (0) | 2013.05.18 |
2013.5.5 엄광산 나들숲길 (0) | 2013.05.07 |
병원생활 후기 (0) | 2013.05.03 |
거골하부골절 (0) | 201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