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위해 늦봄에 핀 꽃 / 천경대사(天鏡)
默對靑山坐 (묵대청산좌)
山嫌白髮來 (산혐백발래)
巖前一朶花 (암전일타화)
慰我晩春開 (위아만춘개)
조용히 푸른 산 마주하고 앉으니
산은 백발이 왔다고 싫어하나
바위 앞 한 떨기 꽃은
나를 위로하려 늦봄에 피었구나
"괴정에서 우연히 읊다(槐亭偶吟)"라 한 시이다.
늙은 괴목 앞에서 우연히 대하게 된 한 순간의 광경을
그저 버릇처럼 사진기를 들이대는
한 풍경화 촬영사처럼 다가가고 있다.
시의 소재라야 나와 청산 그리고 꽃 뿐이다.
지나던 나그네가 정자에 올랐을 때의 한 순간으로
언제나 있을 수 있는 일상의 풍경들이다.
지금 이 시의 첫 구에서
조용히 청산을 보고 앉았다 함은 이러한 나그네의 일상성이다.
다만 조용히 앉았다 함이 의도적 묵상처럼 느낄 수도 있지만,
오히려 조용히라는 한 마디가
이 시의 꾸밈없는 소박함을 전제로 아주 중요한 한 자이다.
앉아 있으면 자연스럽게 마주하는 산이다.
그저 무심인데, 이 무심을 유심의 의도로 대해 주는 청산이다.
백발이 왔다 하여 싫어한다는 것이다.
유정의 나는 무심이 되어 있고,
무정의 산이 오히려 유심한 주체가 되었으니
이 또한 역설의 극치다. 이런 광경을 연민스럽게
여기는 한 떨기의 꽃이 나를 위로하고 나섰다.
이미 봄이 다 지나 모든 꽃이 사라지는 계절인데,
철 늦음을 잊고 피어 있는 것이다.
꽃으로서야 늦다 이르다는 생각없이 피어 있는 것이지만,
산에게 푸대접을 받은 나로서는
이 철 늦은 꽃이 어느 때보다 반가웠고
그 반가움으로 바로 지금
이 산의 푸대접에 대한 보상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그저 피어 있음으로 해서 꽃일 수밖에 없는 저 무정물을
이제는 내가 나의 서글픔을 위로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유정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괴수나무 정자라 하였으니
여기의 꽃이 괴수나무꽃일 수도 있으며,
그렇다면 이 꽃은 늦봄보다는 초여름에 피는 것이 당연하니
그런 점에서 이 꽃 또한 일상의 개화이다.
이렇듯 일상의 평범함을 순간의 유의적 각별한 순간으로
형상화하는 것이 선사들의 평상심이 진리라는 깨우침의 자세요,
시인의 안목으로는 일상사 모든 것을
오히려 아름다움으로 환형시키는 예술적 솜씨이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야월(秋夜月) (0) | 2014.10.17 |
---|---|
그윽한 읊조림 (幽吟) (0) | 2014.08.22 |
"망향산(望香山)" (0) | 2014.07.30 |
월하독작(月下獨酌) (0) | 2014.07.26 |
산중미(山中味) (0) | 201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