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講解 (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금강경 강해-무득부설분(無得無說分) 제7 (1) -무득부설분(無得無說分) 제7 (1)- 부처님이 부처로서 우리들에게 크게 부각되는 이유는 바로 깨달음 때문입니다. 깨달음을 얻지 못하였다면 우리들과 같은 평범한 사람에 지나지 않고 부처님의 탄생(誕生)이나 열반(涅盤)이 높이 평가되지 못할 것입니다. 6년 간의 고행(苦行) 뒤에 납월(臘.. 금강경 강해-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제6 (3)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제6 (3)- 何以故오 是諸衆生이 若心取相하면 卽爲着我人衆生壽者니 하이고 시제중생 약심취상 즉위착아인중생수자 何以故오 若取法相이라도 卽着我人衆生壽者며 若取非法相이라도 하이고 약취법상 즉착아인중생수자 약취비법상 卽着我人衆生壽者니라 즉착아.. 금강경 강해-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제6 (2)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제6 (2)- 이런 기회를 여러 번 갖게 되다 보면 '나도 이제 부처님 말씀을 좀 알아야겠다. 그래 가지고 남에게도 무상 무비(無上 無比)한 좋은 진리를 전해야겠다'하는 생각이 들어 부지런히 법회에 참석하고 법문 녹음 테이프도 구해 들으며 경을 열심히 공부하고 .. 금강경 강해-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제6 (1)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제 6 (1)- 우리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좋아하여 믿고 따르나 바른 믿음을 가진 사람은 드뭅니다. 더 더욱 이렇게 다양하고 빠르게 변하가는 이 시대에 있어서 올바른 믿음을 갖기란 참으로 힘들고 귀합니다. 부처님께서 진리의 모든 것을 남김없이 다 드러내었기 .. 금강경 강해-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제5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제5- 우리는 스스로 우리를 보고 상대(相對)도 보고 부처님도 봅니다. 또한 나름대로 세상 사는 이치도 보고 인생도 보고 진리도 봅니다. 이렇게 끊임없이 보고 또 보지만 과연 '진리대로', '진여의 이치대로', 실답게 보고 있는지요 진실은 진실로 보고 거짓은 거.. 금강경 강해-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제4 (1)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제4 (1)- 모든 살아있는 사람들은 몸이든 마음이든 어떠한 행위를 하기 마련입니다. 행위란 사람들이 하루하루 살아가는 삶 그 자체입니다. 우리들이 매일 엮어가는 행위가 추하지 않고 아름다우려면 어떠해야 합니까. 『금강경』은 이렇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 금강경 강해-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제3 (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제3 (3)- 何以故오 須菩提야 若菩薩이 有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하면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卽非菩薩이니라 즉비보살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이나 인상이나 중생상이나 수자상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상(相).. 금강경 강해-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제3 (2)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제3 (2)- 如是滅度無量無數無邊衆生호되 實無衆生得滅度者니 여시멸도무량무수무변중생 실무중생득멸도자 "이와 같이 한량없고, 헤아릴 수 없고, 끝이 없는 중생들을 제도하되 실은 제도를 받은 중생은 없느니라." 불교는 끊임없이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 이전 1 ··· 19 20 21 22 2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