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典講解

(182)
금강경 강해-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제3 (1)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제3 (1)- '대승(大承-Mahayana)'이란 '소승(小承-Hlnayana)'의 상대적인 말로서 큰 수레라는 뜻입니다. 자기 혼자만의 해탈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모든 사람들을 한꺼번에 태우고 지혜와 자비가 넘치는 저 언덕으로 실어 나르는 일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큰 '대(大)'는 ..
금강경 강해-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2)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2)- 世尊하 善男子善女人이 發阿縟多羅三藐三菩提心하니는 세존 선남자선여인 발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應云何住며 云何降伏基心하리잇고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고는 마땅히 어떻게 안주하며..
금강경 강해-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1)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제2 (1)- 제2분 선현이 법을 청하다 선현(善現)은 곧 수보리(須菩提)입니다. 공(空)과 무상(無相)의 도리를 가장 잘 깨달아 '해공제일(解空第一)'로 불리우는 수보리가 무상(無相) 무주(無住)의 이치를 가르치는『금강경』의 법을 청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이처..
금강경 강해-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제1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제1- 제1분 법회가 열리게 된 동기 양(梁)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소명태자(昭明太子, ?~531)라는 분이 일찍이 『금강경』을 연구하여 32분의 단락으로 주제로 삼았습니다. 이 32분은 오늘날까지 『금강경』을 이해하는 데는 가장 좋은 분류법으로 삼아오고 있습니다..
금강경(金剛經) 한문,한글 전문 ▒ 금강경(金剛經) 한문한글 전문 ▒ 金剛般若波羅密經 금강반야바라밀경 1. 法會因由分 법회인유분 如是我聞 一時佛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 千二百五十人 여시아문 일시불 재사위국기수급고독원 여대비구중 천이백오십인 俱爾時 世尊食時 着衣持鉢 入舍衛大城 乞食於其城..
금강경(金剛經) 강해(講解)를 시작하며~ -금강경(金剛經) 강해(講解)를 시작하며- 불교를 공부하다 보면 도중에 혼란에 빠지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경전공부, 참선, 기도 ,염불, 천도의식(薦度儀式)등을 비롯하여 불교라는 거대한 산에 오르는 길이 너무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경전공부 하나만을 살펴보더라도 그 종류가 너무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