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한시.법어

山居(산거)

山居(산거)

 

 

山非招我住   (산비초아주)

我亦不知山   (아역불지산)

山我相忘處   (산아상망처)

方爲別有閑   (방위별유한)

 

 

산은 나를 부르지 않고

나도 산을 모른다

산과 내가 서로 잊을 때

비로소 별달리 한가함이 있다.

 

 

취미 수초(翠微 守初 1590~1668)선사
선조 23年 경성 성균관 북쪽 명류(名流)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성삼문(成三問)의 후예로 자()는 태혼(太昏)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일찍부터 출가(出家)할 뜻을 품고 있었으나

그의 형이 그의 출가를 허락하지 않자 어느날 밤 몰래 성벽을 넘어

설악산에 머물고 있던 경헌장로(敬軒長老)밑에 들어가 삭발을 하고

출가의 뜻을 이루었다.

 

만력34年에는 두류산으로 들어가 당대 명성을 날리던 부휴선사를

찾아 뵙고 그에게서 수계를 하였다.

 

그 후 스님은 여러 곳의 고승들을 역방(歷訪)하였으며 서울에 올라가

명사들과 교류도 했다.

러는 사이 불문뿐만 아니라 외학에 대한 지식도 넓히어

유학자들과의 대담을 즐겼다.

 

그러나, 그는 철저히 고승인 벽암대사를 따랐다.

벽암스님이 관동을 편력 할 때 그를 따라 관동을 수행했고

그가 남쪽으로 내려오자 스님 역시 남쪽으로 내려갔다.

 

인조 7년 옥천(玉川)에 절을 개당하고 많은 제자들을 길러 내기도 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그는 다시 남쪽으로 내려와

영남과 호남 등지로 전전하면서 법음을 전하기도 했다.

 

어느 때인가는 선가의 중요한 전적으로 여겨지는 선문염송을 읽다가

책을 덮어 버리고는 무릇 모든 언어 문자는 이미 다 되어

좁쌀알과 같아져 버렸으니, 거기 또 무슨 맛이 남아 있겠는가하고

선의 경지를 읊었다고 한다.

 

현종9年 정월 주변에 모인 승려들에게 영북으로 갈 것을 고하고

2月에 오봉(五峯)의 삼장사(三藏寺)로 옮겨 갔다.

병세가 드러나기 시작하자 6月에 자신이 기거하던 방에서

무량수불(無量壽佛)을 염하다 서쪽을 향해 앉아 그대로 입적하였다.

 

시가집인 취미대사시집「翠微大師詩集」 1권이 남아온다.

 

'선시.한시.법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시름 空이로다  (0) 2015.08.26
贈朴仲說大頤 (증박중설대이)  (0) 2015.08.14
재상 소세양의 운을 따라 진기대사에게 줌  (0) 2015.06.26
작설차(雀舌茶)  (0) 2015.06.19
春郊閒步(춘교한보)  (0) 2015.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