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강해 19-부증불감(不增不減)
마지막으로,공(空)의 모습은 ‘늘지도 않고 줄지도 않는다’는 부증불감(不增不減)의 속성이 있습니다.
이것은 다시 말해 현상계의 물질, 정신적 모든 존재는 양(量)적으로
상대적인 개념을 초월하여 무한한 존재로서, 원만 구족한 성질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존재는 그 자체로서 이미 원만 구족되어 있으나,
우리의 분별심이 부족하고 적다고 생각하는 잘못된 차별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물질적인 면을 봅시다.
본래 물질에는 내 것, 네 것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가 스스로, 이것은 내 것 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울타리를 치고 있기에,
그 울타리 안에 있는 것만 내 것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내 것을 누군가에게 보시하면 아깝고, 손해 보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보시를 하게 되면 그만큼 나에게 복덕이 쌓이게 된다는 것은 모릅니다.
보시를 많이 한 사람은 물질적으로 항상 부유합니다.
다른 이를 위한 이타심을 내어 올바로 회향할 수 있는 마음이 있기에,
인연 따라 법계를 떠돌아 다니는 물질들이 많이 모여들게 마련인 것입니다.
연못에 물이 그저 고여만 있어 빠지지 않는다면 새로운 물이 들어올 수 없습니다.
그러나 흐르는 물은 항상 새로운 물로 가득 차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보시에 인색한 사람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를 가난으로 내몰고 있는 것입니다.
무소유가 전체를 소유하는 것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외면한 채
살아가는 삶이 바로 우리들의 어리석은 모습입니다.
무소유를 통해 전체를 소유한다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가진,
모든 존재가 가진 본성의 원만 구족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돈도 마찬가지 입니다.
돈이 많은 사람은 모두 행복하고, 부유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돈의 많고 적음이 그를 부유하고 가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사는가, 아니면 욕심내는 삶을 사는가,
이 마음 자세가 우리를 가난하게 혹은 부유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본래 우리의 마음은 재산 하나 없이도 당당히 살아나갈 수 있는
원만 구족한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마음이 풍족하면 그만입니다.
‘나다, 혹은 ‘너다’하고, 너와 나를 갈라놓고 나만을 위해 살아가는
아상(我相), 아집(我執) 때문에 ‘내 것’이라는 관념이 생긴 것입니다.
아상이 없는 곳에 네 것, 내 것은 없습니다.
내가 없는 마당에 어디 내 것이라는 소유 관념이 붙을 수 있겠습니까?
아상을 깨고 보면 ‘내 것’이 사라집니다.
‘내 것’이 사라졌을 때 이 우주 법계의 모든 것이 다 ‘내 것’이 되는 것입니다.
여기 백만 원의 돈이 있다고 합시다.
이 돈은 많은 돈입니까, 아니면 적은 돈입니까?
대답하자면 많지도, 그렇다고 적지도 않은 돈이겠지요.
즉, 어떤 이에게는 많은 돈이며, 어떤 이에게는 적은 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백만 원을 가지고, 평범한 우리는 얼마나 행복해 할 수 있습니까?
그러나,재벌들에게 백만 원의 돈은,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 하는 작은 돈일 수 있습니다.
본래 백만 원이란 돈에, 많다, 혹은 적다라는 고정된 개념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백만원은, 한없이 가난한 인도나 북한의 불쌍한 가정에서라면,
수억 원과도 맞먹는 값어치가 있으며, 대재벌에게 있어서라면
우리가 생각하는 몇 천원, 몇 만원과도 같은 돈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같은 백 만원 이지만 인연 따라, 어떠한 이에게 주어지는가에 따라
한없는 양의 돈이 되어 늘어날 수도 있으며, 반면에 줄어들 수도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의 마음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늘고 주는 것이지,
백 만원이라는 돈 자체에 어떤 증감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연기법의 세계에서 본다면, 공성(空性)의 세계에서 본다면, 부증불감인 것입니다.
이렇듯,‘내 것’이라는 소유도, 부증불감의 세계에서,공(空)의 측면에서 보면,
증감이 있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좀 더 넓게 보아 내 것이 사라진다는 것은 다른 이의 것이 늘어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전체에서 본다면 부증불감인 것이지요.
좀 더 쉬운 비유를 든다면, 내가 돈 만원을 가지고 있을 때,
오천원을 배우자에게 준다면 내 돈은 줄어들었지만,
배우자의 입장에서는 돈이 늘어난 것입니다.
즉, 우리 가족 전체로 본다면 부증불감입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나와 배우자를 가르는 마음이 있다면 당연히 증감이 있게 마련이며,
배우자에게 오천원을 주었을 때 괴롭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배우자와 나를 가르는 마음이 없습니다.
둘은 하나라는 생각이 있습니다.
바로 이 ‘하나’라는 생각이 있다면 부증불감이며,
내 것이 없어져도 괴로울 것이 없다는 것이지요.
내 것이 곧 배우자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좀 더 확대하여 우리 사회 전반에 관련지어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사회 전체를 우리의 가족처럼 ‘하나’라고 생각했을 때,
즉 사회와 ‘나,를 가르는 마음이 없고 ‘하나’라는 마음을 가질 때,
우리에게는 내 것’이라는 소유욕이 사라집니다.
내 것이 바로 사회의 것이고, 사회의 것이 바로 내 것이기 때문입니다.
나와 너라는 분별심이 끊어졌기 때문입니다.
불교의 지향점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나와 너를 가르지 않는 마음, 즉 아상(我相), 인상(人相), 중생상(衆生相),
수자상(壽者相)을 끊어버리는 것을 수행의 궁극으로 보는 것입니다.
금강경에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라는,
‘상(相)이 상(相)이 아님을 본다면 여래를 볼 것’이라고 한 부분을 주시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상(相)이란, 바로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의 네 가지 상을 말합니다.
사상(四相)의 기본은 아상(我相)에 있으며, 아상이 있기에 인상(人相)이 있는 것입니다.
즉, ‘나다’ 하는 상이 있기에 ‘너다’하고 가르는 상이 생기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불교 가르침의 핵심은, 바로 ‘나,와 ‘너’를 가르지 않는 마음,
즉! 우리 전체가 일체로서의 하나라는 가르침입니다.
이렇게 되었을 때, 늘어나고 줄어드는 개념은 사라집니다.
내 것이 줄어들면 다른 이의 것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 이가 나와 다르지 않거늘 무엇이 줄어들 수 있겠습니까.
이러한 ‘하나’의 가르침이 바로 불교의 핵심입니다.
불교를 ‘지혜와 자비의 종교’라고 했을 때, 지혜는 ‘하나’의 진리를 통찰할 수 있는 지혜를 말하며,
자비는 너와 내가 진정 ‘하나’가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실천행인 것입니다.
'經典講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야심경 강해 21-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無眼耳鼻舌身意 無色聲香味觸法) (0) | 2016.01.30 |
---|---|
반야심경 강해 20-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是故 空中無色 無受想行識) (0) | 2016.01.27 |
반야심경 강해 18-불구부정(不垢不淨) (0) | 2016.01.13 |
반야심경 강해 17-불생불멸(不生不滅) (0) | 2016.01.06 |
반야심경 강해 16-사리자 시제법공상(是諸法空相) (0) | 2015.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