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산행.여행

2018.6.16 성주&합천/ 가야산

 

일자: 2018.6.16

 

산행코스:

백운동.탐방지원센터~만물상~상아덤~서성재~칠불봉~상왕봉~토신~해인사~치인리버스정류장

 

인원: 홀로

 

GPS거리: 10.8  널 널/6시간

 

 

 

부산.구포역에서 대구역으로

근처 찜질방 이용하여 하루를 묵어간다.

 

5시 기상. 씻고~ 대구지하철역 1호선이용하여 성당못역 하차

 

3번출구로 나와 서부정류장으로 이동후 근처 식당에서 아침 해결. 점심 준비하고~

 

06:40 출발하는 해인사行 첫차를 타고 가야면에서 하차. 개인택시 이용하여 백운동탐방지원센타로 이동한다.

 


가야산야생화식물원

 

가야산.백운동탐방지원센타

 

 

 

만물상탐방로

 

 

 

오늘 산행의 들머리다.

 

 

노루발

 

 

 

매화노루발

 

 

 

 

 

초입은 매우 가파른 급경사 오르막길의 연속이다.

 

등로 좌측으로 묘1기를 지나고~

 

다시 올라서면 좌측이 확 트이는 조망처가 나타난다.

 

 

좌측 아래로 심원사가 보이고~

 

 

 

심원사는 신라 고찰인데 여러 차례 소실되었다가 최근 새로 지었다 하는데,

공사도중 고려&신라때로 보이는 절터가 발견되어 발굴작업을 계속 하고있는 유서깊은 절이라고 한다.

 

 

계속되는 오르막길, 우측 건너로 조망이 트이고~

 

 

 

가야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뻗어 있는 능선인데 끝부위 봉긋한 봉우리가 동성봉이다.

 

 

흰참꽃나무

 

 

 

돌양지꽃

 

 

 

뒤돌아본 백운리 일대~

 

 

 

가야할 앞쪽 능선으로 다양한 형상의 바위들이 보이고~

 

 

 

 

 

돌양지꽃

 

 

 

흰참꽃나무

 

 

 

주위 절경을 느끼고, 눈에 담고~

 

 

 

 

 

정금나무꽃

 

 

 

그렇게 주위절경을 즐기며 올라오니 인제 1.0km 올라왔다는데

 

인제부터 만물상의 진열장에 들어선 느낌이다.

 

 

 

 

 

흰참꽃나무

 

 

 

가야산 산성~

 

 

 

가야산의 정상인 칠불봉(해발 1433m)의 동남쪽에 위치하며,

용기골의 좌.우로 상아덤과 재골산의 능선을 따라 축성된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다.

 

처음 축성한 연대에 대해서는 확실하지 않으나,『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등의 문헌자료에 기록이 남아 있다.

 

대가야의 이궁(離宮)으로 추정되고 있는 곳이다.

 

임진왜란시 체찰사(體察使) 이원익(李元翼)이 조정의 명을 받아 승장(僧將) 신열(信悅)을 시켜

개축하였으며, 난중에는 인근 백성들의 피난처로 이용되었던 곳으로 전하고 있다.

 

조선 숙종(肅宗)때 근처에 독용산성(禿用山城)이 수축됨에 따라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퇴락하였다.

 

성벽은 전체 길이 약 7.2㎞가 되지만 대부분 무너졌으며

일부 현존하고 있는 곳은 평균 높이 1.5m 내외의 성벽이 남아 있다.

 

성안의 면적은 약 2.1㎢이다.

 

2000년에 실시한 지표조사에 따르면 성내에 동·서·남·북의 성문을 위시하여

암문(暗門), 치성(雉城), 망루(望樓), 장대(將臺), 7개의 샘과 1개의 우물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성안에는 용기사지(龍起寺址), 백운암지(白雲庵址), 일요암지(日曜庵址) 등의 건물지가 남아 있다.

 

 

동성봉에서 내려오는 능선~

 

 

 

다람쥐꼬리

 

 

 

흰참꽃나무

 

 

 

덕유산. 지리산. 가야샨 등의 고산지역에서만 자라는 휘귀한 나무인데

 

오늘은 들머리 초입부터 가야산 정상까지 끊임없이 반겨준다.

 

 

지나온 능선~

 

 

 

멋진 비룡을 연상케하는

 

 

 

돌양지꽃

 

 

 

예전 어렵게 지나간 바위협곡지대~

 

 

 

 

 

멋진 곡선이다.

 

 

 

기암의 연속~

 

 

 

 

 

유명한 만물상 봉우리가 보이기 시작한다.

 

 

 

만물상에서 바라본 능선인데 맨 위쪽 봉우리가 상아덤이다.

 

 

만물상~

 

 

 

 

 

 

 

흰참꽃나무

 

 

 

동성봉에서 운무가 피어오른다.

 

 

 

바위협곡~

 

 

 

가야산 정상부가 보이기 시작한다.

 

 

 

함박꽃

 

 

 

기암의 연속~

 

 

 

뒤돌아본 만물상~

 

 

 

 

 

가야산을 왜 '해동 제일의 명산'이니 '조선 팔경의 하나'니 하는 말이 실감난다.

 

사람들은 가야산 만물상이 금강산 만물상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수려한 풍광 면에서는 별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한다.

 

 

상아덤(서장대)

 

 

 

택리지의 저자 이중환은 "경상에는 석화성(石火星)이 없다.

 

오직 합천의 가야산만이 뾰쪽한 돌이 불꽃같이 늘어서 있으며, 공중에 따로 솟아서

대단히 높고 또한 빼어나다."라고 했는데 그 말이 딱 들어맞는 것 같다.

 

 

상아덤에서의 주변 조망과 만물상 봉우리는 그야말로 환상 그 자체다.

 

 

 

가야산 정상부~

 

 

 

바위암문~

 

 

 

금마타리

 

 

 

서성재~

 

 

 

경북 성주군 수륜면과 경남 합천군 가야면을 이어주는 고개로,

과거 가야산성의 서문이 위치해 있었던 곳에서 유래된 고개라고 한다.

 

 

잠시 편안한 등로가 이어지고~

 

 

 

돌탑을 지나 션한 바람이 불어오는 안부에 배낭을 내리고

중식을 해결하며 한참을 쉬어간다.

 

 

이후 정상에 가까워지면 급경사와 계단으로 연결된 길이 나오고~

 

 

 

뒤돌아본 산그리메~

 

 

 

중앙의 뾰쪽한 봉우리가 남산제일봉이다.

 

 

바위에서 자라는 소나무~

 

 

 

백운동 방향~

 

 

 

해인사 방향~

 

 

 

계속되는 급경사의 철계단~

 

 

 

산꿩의다리

 

 

 

산수국

 

 

 

산꿩의다리

 

 

 

눈개승마

 

 

 

칠불봉이 지척이다.

 

 

 

칠불봉 정상석

 

 

 

최근 관할 성주군이 지형 측정을 새롭게 해 가야산 최고봉으로 인정을 받았다.

 

정상석은 1.433m이지만 지형도에는 1.432m로 등재되어 있다.

 

가야산 상왕봉보다 2m높지만 꼭 높이로만 주봉이 되지는 않는 모양이다.

 

 

성주군 수륜면 일대~

 

 

 

성주군 가천면 일대~

 

 

 

상왕봉 바라보고~

 

 

 

함박꽃 군락지

 

 

 

자주꿩의다리

 

 

 

 

 

가야산 상왕봉(우두봉)이 지척으로 다가왔다.

 

 

 

꽃개회나무

 

 

 

해인사 갈림길~

 

 

 

상왕봉(우두봉) 정상석

 

 

 

가야산

 

경상북도 성주군과 경상남도 합천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높이 1,430m이다.

 

소의 머리와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우두산(牛頭山)이라고 불렀으며,

상왕산(象王山). 중향산(衆香山). 지달산. 설산 이라고도 한다.

 

가야산이라는 이름은 이 산이 옛날 가야국이 있던 이 지역에서 가장 높고 훌륭한 산이었기에

자연스럽게 '가야의 산'이라는 뜻으로 부른 것이라고 전해진다.

 

주봉인 상왕봉(1,430m)을 중심으로 톱날 같은 암봉인 두리봉, 남산, 비계산, 북두산 등

해발 1,000m가 넘는 고봉들이 마치 병풍을 친 듯 이어져 있다.

 

상왕봉은 소의 머리처럼 생겼고 오랜 옛날부터 산정에서 행해졌던 산신제의 공물을 소에 바치고

신성시 해왔다고 하여 우두봉 이라고 불리우며, 상왕봉의 상왕

[열반경]에서 모든 부처를 말하는 것으로 불교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197210월 가야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우비정~

 

 

 

가야19명소의 하나인 우비정이라는 작은 우물

 

말 그대로 소코샘이란 뜻인데 암반에서 물이 솟을리 없는데도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지나온 칠불봉~

 

 

 

저멀리 남산제일봉. 오봉산. 단지봉. 마장동. 깃대봉~

 

 

 

봉천대~

 

 

 

뒤돌아본 상왕봉 전체~

 

 

 

자주꿩의다리

 

 

 

산꿩의다리

 

 

 

함박꽃

 

 

 

큰앵초

 

 

 

 

 

이후 연속으로 나타나는 계단을 따라 뚝 떨어진다.

 

 

멋진 바위~

 

 

 

그늘사초

 

 

 

그렇게 내려가면 좌측으로 석조 여래 입상으로 가는

등로가 보이지만. 발목이 시큰거려 그대로 내려간다.

 

 

극락골~휴식년제 적용구간이다.

 

 

 

산길끝지점~

 

 

 

해인사

 

 

 

대한불교 조계종 12교구 본사이다.

 

국보32호인 팔만대장경 경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국보 52호인 장경판전을 비롯해서

15점의 보물과 200여 점의 사보등 수많은 문화재와 고적이 있다.

 

1995 12 9일 유네스코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청량사, 백련암, 원당암 등 75개의 부속말사와 15개의 부속암자가 있다.

 


아까 봉천대 지날무렵부터 다리가 실실 아파오더니 피로가 한꺼번에 밀려온다.

 

해인사 경내관람은 패스하고~

 

 

 

 

그대로 치인리 버스 정류장으로 직행. 션한 사이다 한캔 원샷하고~

 

곧바로 도착한 서대구行 버스를 타고 가면서 오늘 산행을 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