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사어록

(무문관 제28칙) 구향용담(久響龍潭)

(무문관 제28) 구향용담(久響龍潭)

 

용담에게 덕산이 가르침을 청하여 듣다가 밤이 깊어졌다.

용담이 말했다.

용담: "밤이 깊었는데 그대는 어찌 물려가지 않는가?"

---덕산이 인사를 드리고 발을 올려 나갔다가 바깥이 캄캄한 것을 보고 말했다.

덕산: "바깥이 캄캄합니다."

용담이 지촉에 불을 켜서 주었다가 덕산이 받으려 하자 용담이 훅 불어 꺼버렸다.

이에 덕산이 홀연히 깨닫고 절하였다.

용담: "그대는 어떤 도리를 보았는가?"

덕산: "저는 오늘 이후부터 천하 노화상들의 말씀을 의심하지 않겠습니다."

 

그 다음날 용담이 법상에 올라 말했다.

용담: "여기 한 녀석이 있는데 이빨은 검수지옥의 칼과 같고, 입은 피를 머금었다.

방망이로 한 대 맞아도 고개를 돌리지 않는다.

언젠가는 외로운 산 정상에서 나의 도를 간직하고 세울 것이다."

 

덕산은 금강경소초를 가지고 법당앞에서 불을 붙이며 말했다.

덕산: "모든 심오한 말을 할지라도 허공에 솜털 하나와 같고,

세상의 중추적 기틀을 다 알아도 깊은 골짜기에 물 한 방울 떨어 뜨린 것과 같다."

그리고는 소초를 불살라 버리고 절을 하고 떠났다.

 

무문왈: 덕산이 깨닫기 전에는 마음이 분개하고 말로 어쩌지 못하여

의기 양양하게 남방으로 와서 교외별전의 가르침을 쓸어 버리겠다고 하였다.

예주에 도착하여 점심을 사려고 하니 노파가 물었다.

노파: "대덕의 궤짝 속에 무슨 책이 들어 있습니까?"

덕산: "금강경소초요."

노파: "금강경에 과거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이라고 말하는데,

대덕은 어느 마음에 점을 찍으려고 합니까?"

덕산은 이 물음에 바로 입이 막혀 버렸다.

비록 노파의 말에 반쯤 죽었지만 긍정하지않고

근처에 어떤 큰 스님이 있느냐고 노파에게 물었다.

노파: "오리밖에 용담화상이 있소."

그래서 용담에 도착하여 완전히 당하니 앞 뒷 말이 도무지 맞지 않았다.

용담은 어린애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으로 깨닫지 못한

한 불씨를 보고 황망히 더러운 물을 확 부어불을 꺼 버렸다.

냉정하게 돌이켜 보면 한바탕 웃음거리다.

 

: 이름을 듣는 것이 얼굴을 보는 것만 못하고

얼굴을 보니 이름을 듣는 것만 못하다.

비록 콕구멍을 얻어 숨은 쉬었으나 눈이 멀어 어찌할꼬?

 

용담이 지촉의 불을 훅 불어 끄자 덕산이 깨달았다고 하는데,

과연 무엇을 깨달았을까?

덕산이 이후부터 고덕의 말씀을 의심하지 않겠다고 하였는데,

과연 님들도 긍정합니까?

덕산이 모든 세상의 심오한 말과 이론들을

허공에 날리는 솜털과 깊은 계곡의 물 한 방울에 비유하며

자신이 소지한 금강경소초를 불살랐으니, 님들이 본받을 일은 아니로다.

용담의 자비심이 너무 오래 고여서 흐르지 않았으니,

물은 냄새를 풍기고 용은 병이 깊어 후사를 걱정할 지경이다.

과연 무문의 안목이 살.활을 자재하는 선기가 있습니다.

이 모두가 냉정히 돌이켜 보면 한바탕 웃음거리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