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 제11칙) 주감암주(州勘庵主)
★조주가 암주를 시험하다.
조주가 한 암자에 도착하여 암주에게 물었다.
조주: "누구 있소, 누구 있나?"
--- 암주가 주먹을 세웠다.
조주: "물이 얕아 배를 세울 곳이 못 되는군!" 하고는 바로 가 버렸다.
또 다른 암자에 도착하여 말했다.
조주: "누구 있나, 누구 있소?"
--- 암주가 주먹을 세웠다.
조주: "마음대로 주고 빼앗고, 마음대로 살렸다 죽였다 하는군!"
곧바로 절을 하였다.
★무문왈: 똑같이 주먹을 세웠는데 어째서 하나는 긍정하고 하나는 긍정하지 않았는가?
그 속 뜻을 한 마디로 내릴 수 있다면
바로 조주의 혓바닥에 뼈가 없음을 알 것이며
조주를 부축하여 세울 수 있고 넘어 뜨릴 수도 있다.
비록 그렇다고 해도 조주가 오히려 두 암주로 부터 시험당한 것을 어찌 알겠나?
만약 두 암주 사이의 우열이 있다고 해도 아직 참학의 안목이 부족하며,
없다고 해도 역시 참학의 안목이 갖추지 못하였다.
★송: 안목은 유성같고 기틀은 번개같다.
죽이고 살리기를 자유자재로 한다.
○조주의 이야기는 그렇다 치고 무문의 평창에 '조주의 혓바닥에 뼈가 없다.'고 하였는데,
이 한마디를 직하에 알아차려야 비로소 무문선사의 그림자를 보았다 하리라.
○만상 송:
깊은 골 돌고 돌아 외로운 암자에서
주먹 들어 길손을 반기는 나그네여!
못다나눈 이야기가 아쉬워 돌아보며
구름처럼 흘려가다 바람결에 전한다.
'선사어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문관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 (0) | 2018.03.06 |
---|---|
(무문관 제12칙) 암환주인(巖喚主人) (0) | 2018.02.03 |
(무문관 제10칙) 청세고빈(淸稅孤貧) (0) | 2017.12.23 |
(무문관 제9칙) 대통지승(大通智勝) (0) | 2017.11.27 |
(무문관 제8칙) 해중조차(奚仲造車) (0) | 2017.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