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 2013.10.2
답사코스: 낙동강하구둑-을숙도-명지오션시티/해변로-신호대교-신호항-부산신항-가덕도/천가교
gps거리: 22.4km 널~널 5시간30분
개금시장 버스정류장에서 67번 시내버스을 타고 하단역 정류장에 내려 지난구간 종료지점인 낙동강하구언에 도착,
부산의 해안을 잇는 “갈맷길(263.8km)”의 제5코스 제1구간을 걸어본다.
이곳은 갈맷길 4코스 3구간이 끝나는 지점인 동시에 갈맷길5코스와 6코스의 시작 지점이기도 하다.
낙동강하구언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과 강서구 명지동 사이를 잇는 방조제.
낙동강의 하구를 가로막은 둑으로 1983년 9월에 착공하여 1987년 11월에 준공된 콘크리트 중력댐이며,
길이 2,400m, 높이는 18.7m이다.
이 둑은 하단동과 을숙도사이의 수문부가 0.5㎞이고, 을숙도와 명지동 사이는 1.89㎞에 달한다.
수문부에는 주수문 6개와 조절수문 4개, 어선의 통행을 위한 운하식으로된 폭 50m의 갑문 1개와 어도 2개소가 있다.
이 둑의 완공으로 바닷물의 역류현상을 막아 유역면적 2만3560㎢ 에 총 저수량은 500만톤,
용수공급량은 6억4800만톤으로 낙동강의 하류지역과 부산시민의 식수를 비롯한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그리고 주변의 경상남도 창원·마산, 울산시의 공단 등에 공업용수를 제공하고 있다.
낙동강은 우리나라에서 3번째로 긴 강이며, 길이 513.5㎞, 유역면적은 2만 3,860㎢이다.
낙동강 하구는 사철 많은 종류의 철새들이 찾아드는 동양최대의 철새도래지 인데,
낙동강 하구에는 을숙도를 비롯한 크고 작은 삼각주가 많이 발달해 있다.
낙동강을 끼고 살아가는 사람들
을숙도 (乙淑島)
부산광역시 사하구(沙河區)에 속하는, 낙동강 하구에 있는 섬.
낙동강이 운반한 토사가 퇴적된 곳으로, 1987년 낙동강 하굿둑이 완성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철새 도래지로 유명하며 삼각주와 하안(河岸) 곳곳에 우거진 갈대 숲은 철새들의 보금자리 이다.
낙동강하구 에코센터
낙동강 하구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철새들을 전시해 자연에 대한 소중함과 신비함을
온몸으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명지교를 건너고~
명지교에서 바라본 을숙도
명지회센타 밀집지역앞으로 갈맷길이 이어진다.
을숙도의 유래
새명지동 강변따라 갈맷길이 이어지는데 멀리 보이는 다리는 을숙도대교이다.
낙동강하구는 갈대숲과 새섬매자기 군락, 그리고 먹이가 풍부한 갯벌로 인해 고니, 큰기러기 등
170여 종의 다양한 철새가 도래하여 서식한다.
명지동의 유래
명지오션시티 해변로는 3.3km의 U자형 해안을 따라 산책로가 잘 조성되어 있는데,
산책로에는 우레탄 포장이 깔려있으며 자전거와 산책로가 구분되어 있다.
진행하다 뒤돌아본 승학산. 구덕산. 시약산
잘 읽어 보입시더.
다음구간 진행할 가덕도가 조망되고~
낙동강 하구의 섬들을 땡겨본다.
지금은 잊혀진 국내최대의 소금터 “명지염전”
신호대교를 땡겨보고~
갈맷길은 명지오션타워 산책길 끝지점에서 신호대교로 연결된다.
신호대교(新湖大橋)
부산광역시 명지동과 신호동을 잇는 교량으로 길이 840, 폭 36m의 아치형 합성교이다.
1995년 4월 19일 착공하여 1997년 12월 31일 완공한 다리로, 최대 경간장은 중앙 아치 부분으로 120m이며,
양측 강상형 합성교가 60m씩 12경간이 덧붙여져 있다.
차도는 상하행 각 4차로, 총 8차로로 폭은 29m이며 양측으로 폭 3.5m 보도를 갖고 있으며,
부산광역시 외부순환도로인 부산광역시 제 77호선으로 을숙도대교 명지주거단지와 신호산단,
부산신항을 연결하는 주요한 교량이다.
신호대교에서 바라본 로노삼성자동차
삼성자동차 남쪽 정문에서 바닷가쪽으로 진행하면 신호공원이 나온다.
신호공원 자전거전용로와 산책로
저 멀리 거가교가 보이고~
신호동의 유래
가두리 양식장???
갈맷길 갈림길
거가교가 어느새 가까이 다가와 있다.
신호항 수상가옥
신호공원 끝지점에 의창수협 수산물위판장이 있다.
위험한 샛길???
갈맷길5코스안내판과 도보인증대
신호공원 건너편 녹산공단 해변산책로를 따라 갈맷길이 이어진다.
지나온 갈맷길
신호공원 끝에서 직진하면 얼마 안되는 거리인데, 지역 특성상 바닷길이 길을 막아 돌아서 진행하도록 되어있다.
거가대교와 굴양식장
눌차도. 가덕도를 바라보며 다음구간 진행할길을 그려본다.
이번구간 끝지점이 바라보이고~
무제
거가교 아래를 지나 계속 이어지는 갈맷길
이곳은 신항만 매립공사가 벌어지기 전에는 “견마도(牽馬島)”라는 이름을 가진 어엿한 섬이다.
이곳도 직진하면 얼마 안되는 거리인데~
지역 특성상 바닷길이 길을 막아 빙~빙 돌아서 진행하도록 되어있다.
견마교를 건너고~
신항만 배수지로 이어지는 삼거리에 도착하고~
이곳은 불과 10년 전 만해도 배를 타지 않고는 오갈수 없었던 바다인데 부두시설 설치공사를 통해
차량 통행이 가능한 도로가 놓였으니 뭐라고 말해야할까? 헐~
여기서 다시 도로를 따라가면 신항으로 이어진다.
신항 남컨테이너부두에서 북컨테이너부두를 잇는 눌차교를 건너고~
눌차교 아래로 바닷물이 흐르고있는데 항만 공사로 인해 가덕도와 육지가 붙어버린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약간 떨어져 있는 것을 알게된다.
부산신항
부산광역시와 창원시 진해구의 경계에 있는 항만이다.
접안 시설인 안벽은 총 14.710 km로 45개 선석 규모로 개발되어 연간 컨테이너 13,250 천TEU 처리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1997년 10월31일 착공해서 총 3단계 사업 중 북컨테이너부두는 운영중이며, 남컨테이너부두와 서컨테이너부두는
2013년 현재 남컨테이너부두는 건설중, 서컨테이너부두는 추진중에 있다.
가덕도 천가교
가덕도 천가교는 갈맷길 5코스 1구간과 2구간이 만나는 지점이다.
눈으로 보고, 코로 향기 맡고, 귀로 듣고, 발로 느끼는, 오감 만족의 여행 “갈맷길”
이후 션한 캔맥주 한캔으로 오늘구간 마무리를 하고~
58번 시내버스를 타고 하단역으로 이동.
곧바로 연계되는 67번 시내버스를 타고 개금집으로~
'갈맷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갈맷길6코스-1구간 (낙동강하구언-구포역) (0) | 2013.11.18 |
---|---|
갈맷길5코스-2구간 (천가교-연대봉-천가교) (0) | 2013.10.28 |
갈맷길4코스-3구간 (몰운대-낙동강하구언) (0) | 2013.10.07 |
갈맷길4코스-2구간 (감천항~몰운대/다대포객사) (0) | 2013.09.30 |
갈맷길4코스-1구간 (남항대교-감천항) (0) | 201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