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典講解

(182)
반야심경 강해 33-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得阿多羅三漠 三菩提) 반야심경 강해 33-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得阿多羅三漠 三菩提) 삼세의 모든 부처님은 반야바라밀에 의지하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됩니다. 여기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란 최상의 깨달음을 뜻하는 것으로, 앞에서 언급한 구경열반(究竟涅槃)과 상통하는 의미입니다. 앞에서 ..
반야심경 강해 32-의반야바라밀다고(依般若波羅密多故) 반야심경 강해 32-의반야바라밀다고(依般若波羅密多故) 이상에서 언급한, 시간/공간 속에 생생히 살아 계시는 모든 부처님은 과연 무엇에 의지하여, 어떤 수행을 통해 부처를 이루었는가? 그 해답을 『반야심경』에서는 ‘의반야바라밀다고’라고 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하나같이 모든..
반야심경 강해 31-삼세제불(三世諸佛) 반야심경 강해 31-삼세제불(三世諸佛) 삼세제불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을 지칭합니다. 이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들이 모두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하는 까닭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된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우선 ‘삼세제불’이 나타내고 있는 대승불교..
반야심경 강해 30-구경열반(究竟涅槃) 반야심경 강해 30-구경열반(究竟涅槃) 우리는 무엇 때문에 불교를 믿고 있을까?’ ‘과연 불교가 우리에게 가져다 줄 수 있는 궁극의 결과는 무엇인가?’ 하는 질문은, 다시 말하면, ‘불교에서 말하는 최고의 행복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
반야심경 강해 29-원리전도몽상(遠離顚倒夢想) 반야심경 강해 29-원리전도몽상(遠離顚倒夢想) 어두운 밤중에 뱀을 보고 기겁을 하여 도망가 버렸습니다. 그러나, 다음 날 와보니 새끼줄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았다면, 얼마나 어처구니없는 일이겠어요? 뱀이 아니라 새끼줄인 것을 밝게 깨쳐 알고 난 다음이야 새끼줄을 뱀으로 착각하여 ..
반야심경 강해 28-무가애고 무유공포(無가碍故 無有恐怖) 반야심경 강해 28-무가애고 무유공포(無가碍故 無有恐怖) 앞에서 ‘무가애’라고 하여 반야바라밀다의 수행을 통해 어디에도 걸림이 없는 이익이 있음을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반야바라밀다의 수행을 통해 어떠한 경계가 닥치더라도 여여(如如)하여 걸림이 없음을 체득한 보리살..
반야심경 강해 27-심무가애(心無가碍) 반야심경 강해 27-심무가애(心無가碍)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를 조금 자세히 살펴보면, 보리살타가 보리살타일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가를 알 수 있습니다. 즉 ,보리살타, 보살이란 반드시 반야바라밀다에 의지해야 한다는 속뜻을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보살이 반야바..
반야심경 강해 26-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菩提薩陀 依般若波羅密多故) 반야심경 강해 26-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고(菩提薩陀 依般若波羅密多故) 앞의 입의분에서 관세음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모두 공함을 비추어보고 일체의 고통과 액난에서 벗어났다는 말을 하였습니다. 즉, 오온이라고 설명되는 일체 현상계가 모두 공(空)하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