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經典講解

(182)
반야심경 강해 17-불생불멸(不生不滅) 반야심경 강해 17-불생불멸(不生不滅) 불생불멸(不生不滅)이란, 태어남과 죽음, 만들어짐과 사라짐의 양극단을 부정한 것입니다. 일체의 모든 존재는 연기의 법칙에 의해 인(因)과 연(緣)이 화합하면 만들어지는 것이며, 이 인연이 다하면 스스로 사라지는 것일 뿐입니다. 예컨대, 나무와 ..
반야심경 강해 16-사리자 시제법공상(是諸法空相) 반야심경 강해 16-사리자 시제법공상(是諸法空相) 앞에서 반야경의 핵심 사상인 공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를 하였으리라고 생각합니다. 공(空)이란, 존재 본질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현상계에 나타나는 모든 존재의 본질을 공상(空相)이라고 하는 것이며, 그렇기에 금강경에서도 ..
반야심경 강해 15-수상행식 역부여시(受想行識 亦復如是) 반야심경 강해 15-수상행식 역부여시(受想行識 亦復如是) 이상의 논리에서는 색(色)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여기에 오면 물질적인 것뿐 아니라 정신적인 것까지도 모두 포함하여 공(空)이라고 설명합니다. 즉 수(受), 상(想), 행(行), 식(識) 모두를 앞의 논리에서 색(色)에 대비할 수 ..
반야심경 강해 14-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반야심경 강해 14-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색이 곧 공이고, 공이 곧 색’이라는 논리는 공간적인 무아(無我)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앞에서 설명하였으며, 강한 긍정의 논리라는 말을 하였습니다. 즉, 물질적 존재인 색(色)은, 바로 지금 이 순간 여지없는 공(空)이라는..
반야심경 강해 13-색불이공 공불이색(色不異空 空不異色) 반야심경 강해 13-색불이공 공불이색(色不異空 空不異色) 이제부터 반야심경에 나타난 공(空) 사상의 본격적인 법문이 시작됩니다. 바로 이 부분,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서론의 핵심 사상인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의 이치를 보다 자세하고 극명하게 나타..
반야심경 강해 12-사리자(舍利子) 반야심경 강해 12-사리자(舍利子)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사리자 색불리공 공불리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항식 亦復如是 舍利子 是諸法空相 不生不滅 不垢不淨 不增不減 역부여시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불정 불증불감 是故 空中無色 無受想..
반야심경 강해 11-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반야심경 강해 11-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일체의 고액[고통과 액난, 괴로움]을 건너, 해탈, 열반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이란 오온이 모두 공(空함)을 비추어 봄으로써 깨달음에 이른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일체의 고..
반야심경 강해 10-개공(皆空) 반야심경 강해 10-개공(皆空) 처음 이러한 오온설(五蘊說)이 대두된 것은 무아(無我)의 이론을 뒷받침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다시 말해, 오온 이론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 존재란 5개의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이 각 요소들은 모두 비실체적인 것이므로 이와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