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講解 (182) 썸네일형 리스트형 반야심경 강해 9-오온(五蘊) 반야심경 강해 9-오온(五蘊)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조견(照見)’이란, 현실 세계의 근본 밑바탕까지 꿰뚫어 비추어 본 것을 말합니다. 올바로 조견했을 때 반야의 지혜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렇게 비추어 본 결과 나타나는 깨달음의 내용이 부처님이 깨달으신 연기법이며, 삼법인, .. 반야심경 강해 8-조견(照見) 반야심경 강해 8-조견(照見) 조견(照見)이란 ‘비추어 본다’는 의미입니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 보는 것을 말합니다. 있는 그대로라고 하면 고정관념, 편견, 선입견이나 어떤 상(相)을 짓지 않고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 반야심경 강해 7-행심반야바라밀다시(行深般若波羅蜜多時) 반야심경 강해 7-행심반야바라밀다시(行深般若波羅蜜多時) 관자재보살[이후 관세음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五蘊)이 모두 공(空)함을 보고 일체의 고액에서 벗어났다’는 이것이야말로 반야심경의 핵심적인 가르침을 뽑아놓은 부분입니다. 나머지 뒷부분은 이 사실에 .. 반야심경 강해 6-보살(菩薩) 반야심경 강해 6-보살(菩薩) 관자재보살’에서 ‘보살’의 의미를 새겨보겠습니다. 보살은 ‘보리살타’의 줄임말인데, 범어로 ‘보디사트바(Bodhisattva)’라고 합니다. ‘보디사트바’는 깨달음을 나타내는 "보리"와, 중생을 뜻하는 "사트바"를 합한 단어로서, 대승불교의 이상적인 수행자.. 반야심경 강해 5-관자재(觀自在) 반야심경 강해 5-관자재(觀自在) 불교를 잘 모르는 이들도 ‘관세음보살’이라는 명칭은 익히 들어 알고 있을 것입니다. 예로부터 불교를 믿지 않는 이들도, 어렵고 힘들 때면 의례 ‘관세음보살, 관세음보살’ 하고 명호(名號)를 부르는 것이 우리 민족의 보편적인 신앙이 되어 왔다고 해.. 반야심경 강해 4-심경(心經) 반야심경 강해 4-심경(心經) 마지막으로 ‘심경’은 핵심이 되는 경전’이란 뜻입니다. 범어로 "흐릿다야 수트라(Hridaya-Sutra)’라고 하는데, 그 뜻은 ‘마음의 경, 진수(眞髓)의 경, 심장(心臟)의 경’이라고 풀이할 수 있습니다. 심경이라고 하면, 흔히 ‘마음의 경’이라고 해석하는 경우.. 반야심경 강해 3-바라밀다(波羅蜜多) 반야심경 강해 3-바라밀다(波羅蜜多) 바라밀다는 범어로 파라미타(Paramita) 라고 합니다. 그 뜻은 도피안(到彼岸), 도무극(到無極), 사구경(事究竟) 등으로 번역할 수 있으며, 자세하게는 ‘바라’가 ‘저 언덕[피안], ‘밀다,가 ‘건넌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그러므로, 그 뜻을 풀이하면 ‘.. 반야심경 강해 2-반야(般若) 반야심경 강해 2-반야(般若) 반야(般若)라는 말은 범어로 프라즈냐(Prajna)라고 하며, 팔리어로는 판냐(panna) 라고 합니다. 반야는 바로 팔리어 ‘판냐’의 음역어로서, 마하와 같이 그 발음만 따서 옮긴 또 다른 예입니다. 이 또한 ‘마하’에서와 같이, 반야라는 의미를 중국말로 옮기기에 ..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