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나무 (234)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1.5.14 나도옥잠화 나도옥잠화... 내 생애 처음으로 만난 꽃... 초록색의 큰 잎과 앙증맞은 작고 하얀 꽃... 높은산에 올라야만 볼수 있는... 몇년전 야생화 세계에 입문하고부터 만나고 싶은 야생화 1순위에 올라가 있던 녀석이다. 녀석과 대면한 후 얼마나 반가운지 땅에 주저앉아 한참을 바라보았다. 입꼬리가 올라가고... 살아있다는것이 행복한 계절이다. -나도옥잠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Clintonia udensis이다. 제비옥잠화라고도 한다. 깊은 산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짧게 뻗은 뿌리줄기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30cm(열매를 맺을 때는 40∼70cm)이다. 꽃줄기에는 잎이 달리지 않는다. 잎은 2∼5개가 뿌리줄기에서 나오며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가.. 2021.5.6 등칡 그 숲에 들어서니 어디선가 숲의 교향악이 울려 퍼지는듯한 환청이 들리고... 숲의 교향악을 연주하는 주인공은, 유별난 생김새로 단번에 눈길을 사로잡는 등칡이다. 수십개의 관악기가 봄날의 환희를 노래하는 듯한... 그많은 관악기가 한꺼번에 울리니 그 소리는 산과 계곡을 압도하는듯 하다. 그런데 황금빛 섹스폰을 가지에 걸어놓고 연주자는 어디에 갔을까~ 등칡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의 낙엽 덩굴식물이다. 학명은 Aristolochia manshuriensis이다. 산지 숲 기슭에서 자란다. 내한성이 강해 음지와 양지에서 모두 잘 자라나 내건성은 약하다. 새 가지는 녹색이지만 두해살이 가지는 회갈색이다. 길이 10m 정도이다. 잎은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밑 모양으로 길이 10~26c.. 2021.5.2 주걱댕강나무 지난해는 시기를 놓쳐 녀석을 자세히 보지를 못했다. 올해는 꽃피는 시기가 일주일이나 빨라져 또 시기를 놓치는가 했는데... 늦은감은 있지만 녀석을 볼 수 있어 너무 좋았다. 화관이 통 모양으로 황백색이고 그 안쪽에는 황금색의 그물 구조 무늬가 있는 특징이 있어 매우 아름다운데... 꽃에 향기가 없다. 다른 댕강나무에 비해 꽃도 크고... 문향이 없는 꽃도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보지를 못해 아쉽다. 주걱댕강나무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이다. 학명은 Abelia spathulata이다. 산지에서 자라며 높이 1∼2m이고 작은가지는 적갈색에서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달리고 사각상 달걀모양으로 털이 있으며 윗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취산꽃차례에.. 2021.4.11 애기송이풀 애기송이풀 치마를 길게 늘어뜨린 듯한 모습으로 잎을 펼치고 잎 위로 여러 송이의 꽃을 피우고 있다. 꽃이 매우 연약해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허물어지고 꽃이 피어 있는 기간이 매우 짧아 꽃을 보기가 쉽지 않다. 이름은 겉보기가 송이풀과 유사하기 때문에 명명된 것으로, 송이풀은 줄기가 있지만, 애기송이풀은 뚜렷한 줄기가 없이 뿌리에서 잎과 꽃자루가 나오기 때문에 낮고 작아 보여서 '애기'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애기송이풀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Pedicularis ishidoyana이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줄기에는 잔털이 나 있으며 원줄기는 짧다. 잎은 깃털 모양 겹잎이다. 5~6월에 입술 모양의 붉은 보라색 꽃이 한두 개 핀다. 열매는 삭과(果)로 10월에 익는다. .. 2021.3.10 붉은대극 붉은대극 대극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은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이다. 숲속 바위지대에 자란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 40cm~50cm이다. 잎은 어릴때 붉은 보라색을 띤다. 줄기잎이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 줄기 끝에는 잎이 5장 돌려난다. 꽃은 4~5월에 피며 꽃대가 줄기 끝에서 4~5개씩 나오고 그 끝이 다시 2갈래로 갈라져서 배상꽃차례가 2개씩 달린다. 술잔 모양의 포엽 안에 수술 5개와 암술 1개가 있다. 씨방은 겉에 털과 사마귀 모양 돌기가 없다. 열매는 삭과이고 6~7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강원도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에도 분포한다. -광려산 대골에서 촬영- 2020.6.27 끈끈이주걱 끈끈이주걱 쌍떡잎식물 끈끈이귀개목 끈끈이귀개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2020.6.27 닭의난초 닭의난초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남부지방의 습한 산지와 서해안의 해안지역에 자생한다. 황갈색의 꽃잎 사이 입술꽃잎의 안쪽에 홍자색의 반점이 있다. 아래위로 갈라진 입술 꽃잎 끝이 뾰족한 황갈색의 꽃 꽃을 보면 닭의 부리가 연상된다. 뿌리와 땅속 줄기가 발달해 마디에서 부정근이 돋아 잎을 내며 번식을 하고 군락을 이루며 산다. 2020.5.27 박쥐나무꽃 2년전 인터넷에서 보고 첫눈에 반한 꽃... 이후 숲을 지날때마다 눈여겨 보고, 꽃도 인연이 닿아야 만날수 있는데 박쥐나무꽃은 나와 좀처럼 인연이 닿지 않았다. 그렇게 해서 긴 기다림의 시간을 보낸후... 이웃님의 소개로 올해 드디어 녀석을 만날수 있었다. 잎이 박쥐나무 날개를 닮아서 박쥐나무 라고도 하고... 꽃이 달린 모양이 박쥐처럼 거꾸로 매달려 있다고 해서 박쥐나무라고 부른단다. 옛날 조선시대 여인네들의 노리개를 닮은 꽃... 현재 젊은 처자들이 귀걸이를 해도 이쁠것 같은 꽃... 앙증맞고 귀여운 꽃이다. 그리움의 시간이 길었던 만큼 반가움이 두배. 세배가 되는... 이리봐도 저리봐도 이쁜 꽃이다. 박쥐나무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박쥐나무과의 낙엽관목이다. 학명은 Alagium platanifoliu.. 이전 1 2 3 4 5 6 7 ··· 30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