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시.한시.법어

(99)
법정스님의 법어모음 -법정스님의 법어모음-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선택한 맑은 가난은 부보다 훨씬 값지고 고귀한 것이다. [산에는 꽃이피네] 버리고 비우는 일은 결코 소극적인 삶이 아니라 지혜로운 삶의 선택이다. 버리고 비우지 않고..
부운(浮雲) 부운(浮雲) 하늘에 떠 다니는 구름 空手來空手去是人生 (공수래공수거시인생) 生從何處來死向何處去 (생종하처래사향하처거) 生也一片浮雲起 (생야일편부운기) 死也一片浮雲滅 (사야일편부운멸) 浮雲自體本無實 (부운자체본무실) 生也去來亦如然 (생야거래역여연) 獨有一物常獨露 (독..
石泉煎茶(돌 샘물로 차 끊이다) -초의선사(艸衣禪師)- 石泉煎茶(돌 샘물로 차 끊이다) -초의선사(艸衣禪師 1786~1866)- 天光如水水如烟 此地來遊已半年 良夜幾同明月臥 淸江今對白鷗眠 嫌猜元不留心內 毁譽何會到耳邊 袖裏尙餘驚雷笑 倚雲更試杜陵泉 (천광여수수여연 차지래유이반년) (양야기동명월와 청강금대백구면) (혐시원부유심내 훼예..
달마조사송 (達摩祖師頌) -달마조사송 (達摩祖師頌)- 財色不忘莫門道 (재색불망막문도) 貢高自是體參禪 (공고자시체참선) 煩惱斷盡生死斷 (번뇌단진생사단) 更無別法與人傳 (갱무별법여인전) 재물과 색을 저버리지 못하거든 도를 묻지 말고 내 잘난 생각 갖고는 참선을 하지 마라 번뇌 망상 끊어지면 생사도 끊어..
서산대사 임종게 -西山大師 臨終偈- 서산대사(西山大師, 1520-1604) 묘향산 원적암에서 칩거하며 많은 제자를 가르치던 서산대사께서 제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거울을 보다가 빙그레 웃으며 한마디 했다. 八十年前渠是我 (팔십년전거시아) 八十年後我是渠 (팔십년후아시거) 팔십 년 전에는 네가 나였는데 팔십 년 후에는 내가 ..
취미수초선사 선시 -취미수초선사 선시- 意在浮雲閑卷舒 (의재부운한권서) 守眞常自臥茅廬 (수진상자와모여) 無端喚起松窓夢 (무단환기송창몽) 山鳥一聲春雨餘 (산조일성춘우여) 마음은 저 뜬 구름에 한가로이 맡겨두고 도리를 다 하며 언제나 띠 풀 집에 누워있네. 누가 부르는가, 소나무 창의 꿈을 산새소..
삼몽사(三夢詞) 삼몽사(三夢詞) -청허선사(晴虛禪師 1520~1604)- 主人夢說客 (주인몽설객) 주인은 꿈을 나그네에게 말하고 客夢說主人 (객몽설주인) 나그네는 꿈을 주인에게 말하네. 今說二夢客 (금설이몽객) 지금 꿈 이야기를 나누는 두 나그네여! 亦是夢中人 (역시몽중객) 꿈속에서 꿈 이야기 하고 있구나. ..
강가에서 들리는 피리(江上聞笛) “강가에서 들리는 피리(江上聞笛)” -취미 수초(翠微守初)선사 (1590~1668) 遠風漁笛一聲長 (원풍어적일성장) 萬里江天向夕凉 (만리강천향석량) 驚起白沙汀畔雁 (경기백사정반안) 海門斜盧兩三行 (해문사로양삼행) 한 곡조 어부의 피리 먼 바람에 실려 만리의 강 하늘 석양따라 서늘하다 백..